11월 25일 시민과 함께하는 지정 기념 행사
생태·문화·관광이 어우러진 새로운 산책길 열려
[천지일보=최치선 여행전문기자] 부산의 대표 산인 금정산이 마침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25일 오후 금정문화회관에서 지정 기념 시민 축하 행사가 열린다. 이번 행사는 도심과 자연이 만나는 공간으로서 금정산이 가진 가치를 시민과 공유하는 자리다.

부산시는 이날 지정 기념 행사를 통해 금정산 국립공원의 의미와 앞으로의 변화를 함께 나눈다. 행사에는 퓨전밴드 ‘비스타’의 공연을 시작으로, 지정 과정과 의미를 담은 경과보고 및 홍보 영상 상영이 마련됐다. 이어 시민단체, 지역 인사, 기관 관계자에게 감사패가 전달되는 시간도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각계 대표들이 무대 화면의 버튼을 눌러 LED 점등 세리머니를 연출했다.
이 산지형 공원의 지정은 ‘도심형 국립공원’이라는 개념을 실현한 첫 사례로 주목된다. 금정산은 총면적 약 66.9㎢에 달하며, 부산 시내 6개 자치구와 경남 양산시에 걸쳐 있다. 멸종위기종이 포함된 수많은 야생생물과 풍부한 문화자원이 이곳의 가치를 뒷받침한다.
특히 시민들의 오랜 염원이 결실을 맺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2005년 시민사회에서 시작된 지정 논의는 2014년 10만 명 서명으로 확산됐고, 2019년에는 부산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화됐다. 이후 수년간 관련 이해관계 조정과 논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지정으로 이어졌다.
부산시는 향후 이 공원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국립공원공단, 전문가, 지역사회와의 협력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금정산이 단순한 등산로나 관광지가 아닌 ‘체류형 관광 상품’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생태 보전 및 문화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금정산을 생태·문화·휴식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조성해 케이(K)-등산, 사찰 명상, 지역 먹거리 등 부산을 대표하는 체류형 관광 상품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지정으로 탐방객 수가 현재 연간 약 310만 명에서 40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역 상권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파급효과도 기대된다. 생태 교육 프로그램이 추가되고, 탐방로 정비 및 자연환경 보전 작업도 본격화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