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최근 3년간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을 통해 선보인 ‘못난이 채소’ 직매입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무·버섯·당근 등 약 20종을 산지에서 직접 매입하며 인구감소지역 농가의 안정적 판로 확보와 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 (제공: 쿠팡)
쿠팡이 최근 3년간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을 통해 선보인 ‘못난이 채소’ 직매입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무·버섯·당근 등 약 20종을 산지에서 직접 매입하며 인구감소지역 농가의 안정적 판로 확보와 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 (제공: 쿠팡)

[천지일보=양효선 기자] 쿠팡이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판매한 ‘못난이 채소’ 누적 매입량이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기후 피해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안정적 판로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신선한 채소를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며 물가 안정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쿠팡은 못난이 채소 매입을 시작한 지난 2023년 1500톤을 확보한 데 이어 작년 3700톤, 올해(1~10월) 2800톤 이상으로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했다. 무·버섯·당근·파프리카·애호박·오이 등 20여종을 취급하며 전국 농가와 직거래를 넓혀왔다.

매입 지역도 전국으로 확장됐다. 강원 평창·정선·태백·홍천, 충북 괴산, 충남 논산·부여, 전북 고창, 전남 해남·함평·화순, 경북 상주·의성 등 인구감소지역이 다수 포함됐으며 제주까지 협력 농가가 확대됐다.

쿠팡은 “못난이 채소 직매입이 지역 소득 증대와 농가 경영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못난이 채소는 외형 기준에 맞지 않아 일반 유통에서 제외되지만 신선도와 맛은 동일하다. 쿠팡은 이를 평균 20% 저렴한 가격에 제공해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선택 폭을 넓혔다. 올해 폭염 등 이상기후로 피해가 컸던 농가에서도 폐기될 채소가 수익으로 전환됐다며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고 쿠팡 측은 설명했다. 

경기 용인 군자농원 윤용식 대표가 쿠팡에 납품 중인 못난이 표고버섯을 살펴보고 있다. 농가는 “쿠팡 직매입으로 판매 불확실성이 줄고 고용도 늘었다”며 경영 안정 효과를 전했다. (제공: 쿠팡)
경기 용인 군자농원 윤용식 대표가 쿠팡에 납품 중인 못난이 표고버섯을 살펴보고 있다. 농가는 “쿠팡 직매입으로 판매 불확실성이 줄고 고용도 늘었다”며 경영 안정 효과를 전했다. (제공: 쿠팡)

현장의 농가들도 매입 확대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 경기 용인의 군자농원 관계자는 “표고버섯 작황이 좋지 않은 시기에도 쿠팡 덕분에 판매 물량을 유지했고 인력 고용도 전년 대비 20% 늘었다”고 말했다. 충남 당진 그린팜 영농조합은 “판매가 어려웠던 못난이 무가 효자 상품이 됐다”며 “안정적인 판로가 경영 안정으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쿠팡은 산지 직매입 후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해 새벽배송으로 직접 전달하는 구조를 운영한다. 중간 유통 단계가 생략되면서 농가는 물류비 부담을 덜고, 고객은 아침 7시 전 집 앞에서 신선한 채소를 받아볼 수 있어 워킹맘 등 소비자 만족도가 높다는 설명이다.

못난이 채소 확대는 소비자 인식을 바꾸는 계기도 됐다. 경기 이천의 송이애 농가는 “못난이 새송이버섯 판매 비중이 전체의 20%까지 늘었다”며 “모양과 품질은 별개라는 점을 소비자가 받아들이면서 폐기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고 했다.

정책적 평가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은 “쿠팡의 직매입이 전남 인구감소지역 농가의 물류비 절감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범사례”라고 말했다.

쿠팡은 향후 산간·농촌 중심으로 협력 농가를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쿠팡 관계자는 “물류·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농가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