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재빈 기자] 코로나 팬데믹 이후 침체됐던 관광 산업이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며 호텔 업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10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 상반기 방한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한 883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다. 외국인 관광객은 올 한 해 기준으로도 사상 최대인 2000만명 돌파가 예상된다. 특히 올해 방한 중국인은 약 540만명, 내년에는 660만명에 이를 전망으로 과거 사상 최대치인 2019년 602만명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야놀자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숙박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 3분기 호텔 시장은 직전 분기 대비 투숙률이 급등하고 평균 객실 가격 인상이 지속되는 등 견조한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수요 대비 공급자 우위 시장이 지속되면서 호텔업은 최소 2027년까지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된다”며 “K-콘텐츠의 확산, 아시아 주요 관광 국가 내 높아지는 한국의 선호도, 단체 관광 무비자 모멘텀까지 수요 증가는 구조적으로 장기화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주요 호텔 브랜드들은 각기 다른 전략으로 시장을 공략 중이다. DL그룹의 호텔 브랜드 글래드는 K-컬처 베이스캠프 전략을 통해 Z세대 요우커와 2030 싼커 여성층을 집중 공략하며 차별화된 성과를 내고 있다. 글래드는 올해 3분기 기준 매출 275억원, 영업이익 94억원을 기록해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호텔 업계 관계자는 “글래드 여의도와 강남 코엑스센터, 마포는 전략적 거점이란 입지 가치가 부각되며 최근 외국인 관광객 및 2030세대의 높은 선호도를 기반으로 매출과 가치의 동시 성장을 달성했다”며 “특히 글래드호텔은 개별 지점을 넘어 지점 간 수요가 연결되는 수요의 선순환 체계를 탄탄히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