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8일 보코 하람으로부터 해방된 나이지리아의 한 마을. (출처: 뉴시스)
2015년 4월 8일 보코 하람으로부터 해방된 나이지리아의 한 마을.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나이지리아 정부가 자국 내에서 발생하는 기독교인 학살을 비판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반박하고 나섰다. 

크리스천데일리인터내셔널(CDI)에 따르면 볼라 아흐메드 티누부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최근 자신의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를 통해 “나이지리아는 종교의 자유를 굳건히 지키고 있으며 종교 박해를 용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나이지리아 내 이슬람 무장세력의 기독교인 공격을 강하게 비판하며 대응을 경고한 직후 나온 반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서 “나이지리아에서 기독교는 실존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며 “급진적 이슬람주의자들이 주도하는 대량 학살이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나이지리아 정부가 기독교인 공격을 중단하지 않으면 미국은 모든 원조와 지원을 중단하고 무력 사용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국방부에 가능한 행동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나이지리아를 다시 ‘종교 자유 특별우려국(CPC)’으로 지정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에 티누부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2023년부터 기독교와 이슬람 지도자들과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관계를 유지해왔다”며 “종교나 지역을 초월해 모든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나이지리아를 종교적으로 편협한 국가로 규정하는 것은 사실 왜곡”이라며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정부의 일관된 노력을 무시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티누부 대통령은 또 “모든 종교 공동체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미국 및 국제기구와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국무부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20년 나이지리아를 처음 CPC로 지정했으나 바이든 행정부에서 2021년 이를 해제했다. 최근 미 의회와 종교 자유 단체들은 나이지리아 내 폭력 사태를 이유로 재지정을 요구해왔다.

한편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나이지리아와 그 어디에서든 무고한 기독교인에 대한 살해는 즉시 중단돼야 한다”며 “나이지리아 정부가 기독교인을 보호하지 않으면 미국이 직접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라일리 무어 미국 하원의원도 “트럼프 대통령은 나이지리아의 기독교 학살 사태를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티누부 대통령이 미국과 협력해 잔혹한 범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제 박해 감시단체 오픈도어(Open Doors)는 “나이지리아는 전 세계에서 기독교인이 신앙 때문에 가장 많이 살해되는 나라”라며 “2024년 한 해에만 3100명이 살해되고 2800여명이 납치된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고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