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7일 오후 성동구 응봉산에서 한 시민이 강남구 아파트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천지일보 2025.4.07.
지난 4월 7일 오후 성동구 응봉산에서 한 시민이 강남구 아파트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천지일보 2025.4.07.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22대 국회의원이 보유한 주택 5채 중 1채가 서울 강남 지역에 있다는 시민단체 분석 결과가 나왔다. 다주택자 비율도 5명 중 1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2대 국회의원 부동산 재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이 올해 3월 공개된 국회의원 재산 신고 내역을 분석한 결과 대통령비서실 등으로 이동해 의원직에 있지 않은 ‘전 국회의원’을 포함한 22대 국회의원 299명 중 유주택자는 234명이었다. 이들이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보유한 주택은 총 299채다.

이 중 20.4%에 달하는 61채가 강남4구에 집중됐다.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20명, 국민의힘 36명이 강남4구에 주택이 있었다.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은 각 1명, 전 국회의원은 3명이었다.

조사대상 국회의원 가운데 95명(31.8%)이 보유 부동산을 전세 형태로 임대하고 있었다. 17명은 강남4구에 소유한 주택을 임대 내준 것으로도 파악됐다. 더불어민주당은 20명 중 11명, 국민의힘은 36명 중 4명이 해당 주택에 대한 임대를 신고했으며 전 국회의원 2명도 임대를 했다.

국회의원 중 다주택자는 61명(20.4%)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25명으로 같은 당 소속 의원의 15.2%, 국민의힘은 35명으로 32.7%가 다주택자였다.

국회의원 신고 부동산 재산 평균은 19억 5000만원 수준에 달해 국민 평균(4억 2000만원)의 4.68배였다. 상위 10명의 평균은 165억 8000만원에 달했다.

경실련은 “공직자가 고가·다주택을 보유한 채로 ‘집값 안정’과 ‘투기 억제’를 주장하면 진정성과 실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1급 이상 고위공직자를 대상으로 실사용 목적 1주택 외 토지·건물 보유와 매매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정부가 제대로 된 서민 주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