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추석 연휴를 맞아 오랜만에 따로 사는 부모를 찾으면 “전화 좀 해라”, “왜 연락이 없느냐”, “집에 좀 자주 와라”라는 잔소리를 듣기 십상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따로 사는 부모와 얼마나 자주 연락할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전국 7499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19차 한국복지패널 조사 결과, 전체의 44.38%가 부모와 따로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일반 가구의 부모 분리 거주 비율은 49.72%로, 중위소득 60% 이하인 저소득 가구(17.52%)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 1년간 따로 사는 부모와의 전화 통화 횟수는 중윗값이 52회, 평균은 106회였다. 단순 계산하면 중윗값 기준으로는 일주일에 한 번꼴, 평균으로는 사흘에서 나흘마다 부모와 통화한 셈이다. 중윗값은 응답을 순서대로 배열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수치를 말한다.
소득별 통화 빈도는 일반 가구가 평균 106회로, 저소득 가구(평균 95회)보다 많았다.
지난 1년 동안 따로 사는 부모를 직접 찾아간 횟수는 중윗값이 12회, 평균은 42회였다. 특히 저소득 가구의 부모 방문 횟수는 평균 46회로, 일반 가구(평균 42회)보다 높았다.
연구팀은 “왕래 빈도는 저소득 가구가 더 높았지만 전화 연락 빈도는 반대였다”며 “저소득 가구의 경우 표준오차가 크게 나타나 가구별 부모 접촉 빈도의 격차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06년부터 매년 한국복지패널 조사를 통해 다양한 인구집단의 생활 실태와 복지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