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에 대한 송곳 검증 이어져
충북지사 “희생자 조형물 약속”
유가족 “안전 인식 교육 필요”
생존자 “생존자 소통창구 없어”

[천지일보 충북=김홍진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국회 행안위)가 15일 오전 충북도의회 다목적회의실에서 ‘오송 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 현장조사 및 유가족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는 지난 2023년 7월 15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에서 14명이 숨진 것과 관련해 충북도를 포함한 기관에 대한 과실이 없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행안위 의원들은 김 지사를 향해 사고 당시 보고 상황부터 희생자 현판 설치까지 다양한 질의를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 이광희 의원(청주 서원)은 “지난 기관보고 때 사고 당일 새벽 도청에서 CCTV를 보고 있었다고 말했다. CCTV로 물이 차는 걸 보고 계셨던 것 같다”고 말하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김영환 지사는 “당시 CCTV를 볼 경황이 없었다”며 “당시 지하차도 안에 차량이 몇 대가 들어갔는지 등 가늠하기 어려웠다”고 답하며 의혹을 부인했다.
이 의원은 “오전 7시 2분부터 감리단장으로부터 위험하다는 전화가 있었다고 하는데, (충북도지사가) 치를 취할 수 있는 위치였음에도 보고가 안 된 것이 의아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당시 보고됐으면 바로 현장으로 달려갔을 것”이라며 “저에게 도의적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현행 재난안전관리법을 보면 도에서는 시에서 온 것을 보고받아야하느데 보고받지 못해 아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청주 흥덕)은 “지난 2023년 충북도 재난안전본부에서 작성한 대응 매뉴얼을 보면 초기 상황 판단하에 6가지의 대책이 있다. 그럼에도 홍수의 발생 징후 확인 시 신속한 보고 및 전파 등이 하나도 진행 안 되지 않았냐”며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책임을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김 지사는 “그런 부분에 대해 도의적 책임을 진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괴산, 옥천 영동, 보은)은 “궁평 지하차도 명칭과 관련해 시민들이 봤을 때 1인지 2인지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며 오송 지하차도 지명의 부정적 이미지와 관련해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김 지사는 “오송 주민들 입장에서도 불만을 갖고 계시기 때문에 이 문제는 정리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생 의원(비례대표)는 “오송참사 조형물과 관련해 도의회에서 예산을 삭감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김 지사에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물었다. 김 지사는 “어떻게든 임기 내에 도의회를 설득하고 조형물을 설치하겠다”고 답했다.
신정훈 국회 행안위 위원장은 “사고 다시 재방에서 넘치기 시작해서 7분인지 지하차도에서 넘치기 시작된 게 7분인지 답해달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제방이 붕괴되서 역류되기 시작한 게 7분”이라고 답했다.
![[천지일보 충북=김홍진 기자] 15일 충북도의회에서 열린 오송참사 국정조사 현장 조사에서 오송참사 생존자가 발언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5.09.15.](https://cdn.newscj.com/news/photo/202509/3318107_3395117_4825.jpg)
기관장에 대한 질의가 끝난 뒤 유가족들에 대한 질의 및 간담회가 진행됐다. 747번 버스 희생자 유가족인 이중훈씨는 “아버지가 운행한 버스는 GPS가 나와 있어서 운행 기록이 있다. 당시 충청대 강내면 앞을 통제해서 통제하지 않은 궁평2지하차도를 선택해 운행했다”며 “사고가 발생했는데도 지자체, 소방, 경찰, 건설사, 행복청 모두 통제하지 못해 저희를 유가족으로 만들었다”고 호소했다.
이어 “생존자들은 트라우마로 현재까지 고생하고 있다. 이 문제가 잘 해결되길 바란다”며 “현장, 공무원들 모두 안전할 수 있도록 안전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생존자 A씨는 “생존자들에 대한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라며 “(저희에게는) 소통창구가 아무것도 없다”고 탄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