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재빈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향후 4년간 미국에 260억 달러(약 35조원)를 투입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3월 발표한 21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를 늘린 규모다. 이번 결정은 미국 내 다양한 사업 기회를 선점하고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투자 핵심 분야는 제철, 자동차, 로봇이다. 현대차그룹은 루이지애나 주에 연간 270만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세워 저탄소 고품질 강판을 생산, 현지 자동차 산업을 비롯한 전략산업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국 내 철강–부품–완성차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완성해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완성차 생산능력도 확대한다. 지난해 70만대였던 미국 내 생산량을 큰 폭으로 늘리고, 전기차·하이브리드·내연기관차 등 다양한 라인업을 투입해 현지 수요 변화에 빠르게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부품사와 물류 계열사 역시 설비를 확충해 현지화율을 높이고, 배터리팩 등 전기차 핵심 부품을 현지 조달해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한다.
현대차그룹은 로봇 분야에도 공격적으로 투자한다. 연 3만대 규모 생산 능력을 갖춘 로봇 공장을 신설해 미국 로봇 산업 생태계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AI,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등 신기술 분야에서 미국 유력 기업들과 협력을 넓히고, 보스턴 다이내믹스·모셔널 등 현지 법인의 사업화에도 속도를 낸다.
이번 투자는 미국 정부 정책 대응과 한·미 경제 협력 확대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투자를 통해 양국 간 공동 성장을 촉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국내에도 사상 최대 규모인 연간 24조 300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연구개발(R&D)에 11조 5000억원, 경상투자 12조 원, 전략투자 8000억원을 배분했으며, 화성 기아 EVO 플랜트와 울산 EV 전용공장 등 전기차 전용 생산기지 건설에 집중하고 있다.
화성 EVO 플랜트는 하반기 완공돼 PBV 전기차 생산에 돌입하며, 울산 EV 전용공장은 2026년 상반기 초대형 전기 SUV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