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월 만에 오른 소주 가격
맥주도 8개월 만에 3.1% 증가
주점 폐업 증가로 술값 인상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진열된 맥주. (출처: 뉴시스)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진열된 맥주.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소비 부진에 대응해 술값을 낮췄던 자영업자들이 다시 가격을 원래대로 되돌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외식 소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하며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상승 전환했다. 외식 맥주 가격 역시 0.5% 올라, 7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전까지 외식 소주 가격은 지난해 9월부터 9개월 연속 하락했으며, 외식 맥주도 지난해 12월 이후 꾸준히 내림세였다.

소매점 술 가격도 마찬가지였다. 소주 소매 가격은 16개월 하락 끝에 지난 5월 0.2% 오른 데 이어 6월에도 0.1% 상승했다. 맥주 소매 가격은 6월에 3.1% 급등,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번 술값 반등은 장기간 지속되던 ‘미끼 할인’의 종료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외식업계가 소비 위축을 타개하기 위해 진행한 파격적인 할인 행사가 마무리된 것이다. 통상 프로모션은 1~2개월 수준이지만, 최근엔 예외적으로 길게 이어졌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지역에서 이러한 할인과 반등 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에선 지난해 6월부터 소주 가격이 하락했으며, 12월엔 -8.8%까지 급락했다가 최근 -3.1% 수준까지 회복됐다. 부산은 지난해 3월부터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 3월부터 반등에 나섰다.

이번 가격 상승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나타난 변화이기도 하다.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12월 계엄 여파로 100 아래로 떨어졌지만, 올해 들어 4월(93.8) → 5월(101.8) → 6월(108.7)로 회복 흐름을 보였다.

또한 폐업한 자영업자가 늘면서 할인 경쟁이 완화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에 따르면 5월 기준 전국 호프집 수는 전년보다 약 8.3%(1982곳) 줄었고, 숙박음식업 취업자도 같은 달 6만 7000명이나 감소해 3년 6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을 기록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자영업자들이 빚 부담과 운영난 속에서 극단적 할인 전략까지 동원했지만 결국 버티지 못하고 가격을 복구한 셈”이라며 “정권 교체 이후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정상화 흐름도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