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10~50% 수준 관세 부과
韓日과 ‘낮은 車관세 협정’ 부정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끝나는 오는 7월 8일을 앞두고 모든 국가에 관세 관련 서한을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별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최대 50%의 관세 부과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공개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해야 할 일은 모든 국가에 편지를 보내는 것”이라며 “나는 지금 바로 시작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 부과 방침의 유예 시한이 곧 종료됨에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그는 “각국과의 무역 적자나 다른 문제들을 검토하겠다는 내용을 담아 편지를 보낼 것”이라며, 국가별로 25%, 35%, 50% 또는 10%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회담 없이도 관세 조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일본과의 무역에 대해 “우리는 수백만 대의 일본산 자동차를 수입하지만, 일본은 미국산 자동차를 거의 들이지 않는다”며 “이건 불공평하며 일본도 그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과 큰 무역적자가 있고, 그들도 이를 인정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에겐 석유가 있고, 그들은 이를 포함한 여러 자원을 수입할 수 있다”며 “이제는 모든 나라에 관세 서한을 보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한국이 미국 자동차 업계보다 유리한 조건의 협정을 맺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질문에는 “미국 자동차 회사들은 이미 미국 내 판매에 집중하고 있어 그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현재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해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