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강남-비강남 격차 22억 ‘역대급’

[천지일보=이시문 기자] 24일 오후 서울 동작구에서 바라본 용산구 아파트 모습. ⓒ천지일보 2025.04.24.
[천지일보=이시문 기자] 24일 오후 서울 동작구에서 바라본 용산구 아파트 모습. ⓒ천지일보 2025.04.24.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문재인 정부 임기 동안 서울 아파트값이 두배 이상 폭등했으며, 윤석열 정부에 들어선 뒤 강남과 비강남 간 가격 격차가 역대 최고 수준에 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5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B부동산과 부동산뱅크 시세 자료를 토대로 한 서울 아파트 시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은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1000세대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 3곳씩 총 75개 단지를 선정해 분석했으며, 전용 30평 기준(국민 평형)의 아파트 가격을 산출했다.

그 결과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5억 8000만원이던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임기 말 12억 6000만원으로 119% 상승하며 최대 폭등세를 보였다. 이 같은 상승률은 노무현 정부(80%), 박근혜 정부(21%)보다 훨씬 높았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되레 10% 하락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아파트값이 12억 6000만원에서 12억 8000만원으로 소폭(1%) 상승했지만, 강남권과 비강남권의 가격 격차는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윤 정부 출범 3년 차인 올해 강남권(강남·서초·송파) 아파트 평균 가격은 32억 3000만원으로, 비강남권(나머지 22개구) 평균 가격(10억 2000만원)의 3.2배에 달했다.

노무현 정부 말기 2.6배, 박근혜 정부 말기 2.6배, 이명박 정부 말기 2.2배와 비교하면 격차 확대는 더욱 뚜렷하다. 금액 차이로도 노무현 정부 초 2억 6000만원이던 격차는 윤 정부 들어 22억 1000만원까지 벌어졌다.

아파트를 사기 위해 평균 임금 노동자가 얼마나 저축해야 하는지도 분석됐다. 경실련에 따르면 2003년에는 16년이었으나 문재인 정부 말기 33년으로 늘었다. 윤 정부 들어서도 여전히 32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무리한 공급 확대보다 실효성 있는 가격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며 “종합부동산세와 같은 세제 정상화,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시장이 다시 들썩이고 있는 만큼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주거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