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PPP 고려 물가 통계’
한국, 평균 대비 47% 높아
의복·신발·교육도 평균 상회
정부, 체감물가 완화 대책 마련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치솟는 물가에 대한 대책 마련을 지시한 가운데 13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천지일보 2025.06.13.](https://cdn.newscj.com/news/photo/202506/3281558_3348654_4222.jpg)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우리나라 국민이 느끼는 체감물가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가 발표한 ‘구매력 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를 고려한 물가 수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가격 수준은 147로 집계됐다. 이는 OECD 평균(100)보다 47% 높은 수준으로, OECD 38개국 중 두 번째로 높았다.
PPP를 고려한 식음료 가격 수준이 높았던 국가는 스위스(163)였다. 경제 규모가 큰 미국(94)이나 일본(126), 영국(89) 독일(107) 등도 한국보다 음식료품 물가가 낮았다.
PPP란 환율이 양국 통화의 구매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구스타프 카셀의 이론에서 제시된 개념이다. 이를 고려한 물가 수준은 경제 규모와 환율 등 변수를 구매력 기준으로 보정해 국가 간 물가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로 알려졌다. 실제 각국 국민이 느끼는 체감물가 수준을 비교할 수 있다.
식음료 가격 외에도 의복과 신발, 교육 물가 수준도 OECD 평균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의복과 신발 물가지수는 137, 교육 물가지수는 110으로 OECD 평균을 상회했다.
반면 여러 품목을 포괄하는 가계 최종 소비(HFC, Household Final Consumption) 물가는 85로 평균을 하회했다. 교통, 문화·여가, 외식, 주거 물가 역시 평균보다 낮았다.
전체 물가 수준이 높은 게 아니라 먹고 입는 등 기본적인 생활에 필요한 품목이 상대적으로 비쌌던 셈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116.03(2020=100)로 집계됐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큰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분기 119.09, 식품 물가지수는 125.04를 기록했다. 실제로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체감도가 높은 생활물가·식품 물가가 더 많이 오른 것이다.
이에 정부는 체감물가를 잡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회의에서 “물가 문제가 우리 국민에게 너무 큰 고통을 주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이에 “수년간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높다”며 “먹거리 물가 등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이 지속돼 서민·중산층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기재부를 중심으로 물가 안정을 위한 범부처 대책을 마련 중이다. 특히 최근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계란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 잡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정부 지원을 통해 대형마트, 전통시장, 온라인몰 등 유통 채널별 할인을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수급 불안이 발생하는 물품은 정부 비축 물량을 조기 방출하고, 산지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시기별 수급 불안을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수입 농축산물에 대한 할당관세를 확대 적용하는 대책도 논의되고 있다.
라면 등 가공식품의 경우 가격 인상 과정에 제품 생산·유통사들의 담합 등 불공정행위가 있었는지를 살펴볼 방침이다. 시장 내 경쟁이나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촉진하도록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보호단체 등과 협력해 가공식품 원가분석 및 가격정보를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으로 인한 중동 정세 불안이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이어진 만큼, 정부가 일부 환원했던 유류세 인하 혜택을 다시 확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