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제공: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제공: 연세사랑병원)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고령화에 따라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중장년층이 빠르게 늘면서,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인 ‘무릎관절염’ 치료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관절 내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며 통증과 부종, 운동 제한 등을 유발하는 퇴행성 관절염은 방치할 경우 단순 보행조차 어려워져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정형외과 분야에서 ‘자가지방 기질혈관분획(SVF, Stromal Vascular Fraction)’을 이용한 재생 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이 치료는 환자 본인의 복부나 허벅지에서 지방에서 세포 성분을 분리 채취한 뒤, 줄기세포와 면역세포, 혈관내피세포 등이 포함된 SVF 성분을 추출해 무릎 관절에 주입하는 방식이다.

SVF는 손상된 관절 주변 조직 회복과 염증 조절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시술은 국소마취로 이뤄져 비교적 간단하고 입원 없이 회복이 가능하다. 특히 통증이 심하지만 고령이나 건강 문제로 수술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유용한 비수술적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퇴행성 관절염은 연골이 닳으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한 주사치료만으로는 개선이 어렵다”며 “자가지방 SVF는 무릎의 통증을 줄이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환자 자신의 지방을 활용해 면역 거부반응 우려가 거의 없고,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자가지방 SVF 치료는 ▲기존 약물 및 주사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의 무릎 통증이 있으나 고령 등으로 수술이 부담스러운 환자 ▲인공관절 수술 이전 단계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도하고자 하는 중기 관절염 환자에게 권장된다.

다만, 연골이 거의 완전히 닳아 관절 간격이 소실된 말기 관절염 환자에게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적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최근 무릎 치료의 흐름은 단순 통증 억제를 넘어 연골 재생 유도에 집중되고 있다. 이 가운데 자가지방 SVF 치료는 수술 없이 증상 개선을 이끌 수 있는 유망한 재생치료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의료기술의 진화와 함께, 향후 더 많은 환자들에게 ‘고통 없는 일상’이라는 새로운 희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