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첫 백악관 대규모 투자 발표
관세 리스크 낮추고 車 강판 자립화
“美50개 주서 57만 개 일자리 창출”
트럼프 “관세 필요 없는 현지 생산”

[천지일보=최수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 총액 210억 달러(약 31조원)를 투자해 자동차 생산·부품·물류·철강·미래산업 등 전 부문에서 현지 경쟁력을 강화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투자 발표 행사에서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정 회장은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재한 발표 행사에 참석해 “향후 4년간 (미국 내) 210억 달러 추가 투자를 기쁜 마음으로 발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대차는 지난 1986년 미국에 진출한 이후 지금까지 2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왔으며 현재 미국 50개 주 전역에서 57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계획은 ▲자동차 생산 분야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 61억 달러 ▲미래산업·에너지 분야 63억 달러 등 총 210억 달러 규모로 구성된다.
정 회장은 “이는 우리가 미국에 진출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투자”라며 “이 약속의 핵심은 철강과 부품에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미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60억 달러를 투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특히 루이지애나에 새로운 시설을 설립하여 미국 내 13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 내에 보다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자동차 공급망의 토대가 될 현대제철의 수십억 달러 투자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해 저탄소 자동차 강판 생산을 본격화한다. 이를 통해 현지 공장에 필요한 철강을 직접 공급함으로써 대외 무역 리스크나 관세 부담을 줄인다는 구상이다.
자동차 생산 측면에서는 미국 내 ‘3호 공장’인 조지아주 서배너 소재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능력을 기존 연간 30만 대에서 50만 대까지 확대한다.
정 회장은 “이번 주에는 조지아에 80억 달러 규모의 공장(HMGMA)을 새로 오픈하게 돼 자랑스럽다. 이로써 우리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자동차 연간 생산량은 100만 대를 초과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부품·물류 부문에서도 배터리팩 등 전기차 핵심 부품의 현지 조달과 HMGMA 생산시설 증설에 맞춰 부품 현지화율을 제고한다.
미래산업·에너지 부문에서는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신기술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미국 자회사인 보스턴 다이내믹스, 슈퍼널, 모셔널의 사업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아울러 소형 원전 모듈(SMR), 재생에너지, 전기차 충전소 확충 등 에너지 분야에서도 적극 투자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가 미국에 건설하는 최초의 제철소”라며 “조만간 앨라배마와 조지아에서 자동차 부품과 자동차 공장에 철강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이 투자는 관세가 매우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라며 “현대차는 미국에서 생산을 생산해 자동차를 만들 것이다.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 현대차는 진정한 위대한 기업으로 큰 영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만약 여러분들이 원하는 허가를 얻는데 어떠한 것이든 어려움을 겪는다면 나를 찾아오시라”며 “당신들을 위해 해주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국 기업이 백악관에서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개한 첫 사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