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평화 휴전 동의해야”
휴전 대비 평화 유지군 논의

[천지일보=방은 기자] 우크라이나 전후 안전보장을 지원하기 위한 미국을 제외한 영국과 프랑스가 주도하는 일명 ‘의지의 연합’ 참여국들이 휴전 가능성에 대비해 평화유지군 파병 논의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15일(현지시간)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이날 29개국 정상들과 화상회의를 가진 후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잠재적 휴전을 지원하기 위해 실질적 작업을 가속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제는 ‘작전 단계’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세상에는 행동이 필요하다. 빈말과 조건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스타머 총리는 “이를 위해 오는 20일 런던에서 참여국 군 수뇌부 회의가 열릴 것”이라면서 “각국별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수 있는 실용적인 강력한 계획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의는 우크라이나가 미국과의 회담 후 ‘30일간의 휴전’에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스타머 총리는 이전에 평화 협정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영국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할 의향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이날 다른 유럽 국가들에게도 구체적인 안보 보장을 약속할 것을 촉구했고, 미국의 ‘백스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스타머 총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이 제안하고 우크라이나가 동의한 ‘30일 휴전’에 합의하는 것을 늑장 대응하고 있다”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은 푸틴 대통령이 밝힌 평화 의지와 상치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참여국들은 푸틴 대통령이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휴전’을 거부할 경우 그를 협상 테이블로 나오게 하기 위해 추가 제재 등 러시아에 대한 압력을 높여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스타머 총리는 “동결자산에 관한 문제를 포함해 우리가 어느 정도까지 할 수 있는지 오늘 논의는 됐으나 (압류는) 복잡한 문제”라고 답했다. 유럽 일각에서는 서방이 동결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 압류를 압박 카드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날 화상회의에는 유럽 국가들과 유럽연합(EU),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대표 외에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우크라이나 등 29개국이 참여했다. 하지만 ‘의지의 연합’의 휴전 합의가 체결되더라도 미국 측의 입장을 포함해 세부적인 사항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에 외국군 주둔을 포함한 안보 보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에 서방군이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