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선포 배경 등 깊이 다뤄
부정선거·외세개입논란 부각
‘대통령 지지율 상승’도 주목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독일 공영방송 ‘ARD(독일연방공화국 공영방송협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 정국을 집중 조명한 다큐멘터리를 방영한 것이 뒤늦게 주목받고 있다. ARD의 Phoenix 채널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방영한 다큐멘터리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배경과 탄핵 정국을 상세히 다뤘으며 부정선거 의혹과 외세 개입 문제를 주요 이슈로 부각했다.
4일 해당 보도를 살펴보면 해당 다큐멘터리는 한국 내 거대 야당의 친북·친중 성향과 함께 헌법재판관들의 편향성 논란, 윤 대통령 체포 과정의 적법성 문제, 민주당의 검열 논란 등을 다루며 다양한 시각을 제공했다. 특히 비상계엄 선포 당시 거리엔 탱크도 없고 언론도 통제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외신들이 비상계엄을 ‘독재적 조치’로 보도한 것과는 차별화된 내용을 전했다.
ARD는 “윤 대통령 지지율이 지난해 12월 17%에서 최근 50% 이상으로 급등했다”고 전하며 “대규모 탄핵 반대 집회가 서울, 부산, 대구 등에서 열렸다”고 보도했다. 또한 젊은 층이 중국과 북한의 위협을 인식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윤 대통령의 계엄령이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평가하는 시각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이뿐 아니라 ARD는 민주당이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비판해 온 점과 야당 정치인들이 주한미군을 ‘점령군’으로 표현해 온 사례를 지적했다. 아울러 헌법재판소의 심판 공정성 문제와 관련해 국민 절반 이상이 의문을 갖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전하며 사법부에 대한 신뢰 저하 현상을 짚었다.
ARD는 민주당의 ‘민주파출소’ 운영으로 비롯된 검열 논란 사례도 소개하며 ‘표현의 자유’ 제한이 중국과 북한을 연상시킨다는 우려를 보도했다. 또한 야당 비판 유튜버들이 고발당한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 사회에서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미국 아태전략센터 부대표인 데이비드 맥스웰은 인터뷰에서 “한국 선거의 기반 시설(선거관리위원회)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것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ARD는 한국 헌법재판소 내부의 편향성과 윤 대통령의 방어권 미보장 문제를 함께 다루며 탄핵 정국의 복잡성을 조명하기도 했다. ARD는 헌법재판소의 좌편향 논란이 있는 특정 재판관들의 실명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최소 3명의 헌법재판관의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보도했다. 또 윤 대통령의 방어권에 대해선 “충분히 지켜지지 않았다”는 한국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적과 대학생들의 시국선언 내용을 다뤘다.
한편 ARD는 독일 현지에서 최고의 공신력을 자랑하는 방송으로 알려졌다. 지방 라디오 방송국들의 연합체에서 출발한 ARD는 현지 최대 지상파 공영방송사이자 유럽방송연맹 정회원이다. 1950년 개국했으나 그 전신까지 아우르면 10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주요 재원이 수신료(총 매출의 80% 이상)이며 매출도 유럽 제일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상업 광고 전혀 없이 수신료에만 의존하는 영국 BBC보다 매출액이 우위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