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산업활동동향’ 발표
산업생산 전월比 2.7% 감소

감소폭, 4년 11개월來 최대
광공업·서비스업·건설 모두↓

소비, 한 달 만에 감소 전환
설비투자·건설투자 모두 부진

1월 산업활동동향. (제공: 통계청) ⓒ천지일보 2025.03.04.
1월 산업활동동향. (제공: 통계청) ⓒ천지일보 2025.03.04.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 지표가 한 달 전보다 줄었다. 두 달 만에 ‘트리플 감소’가 나타난 것이다. 특히 이번 감소 폭은 ‘코로나19 쇼크’ 이후 5년 만에 가장 컸다.

통계청은 4일 ‘1월 산업활동동향’을 통해 지난달 전(全)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가 111.2(2020년=100)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한 달 전보다 2.7% 감소한 것으로, 코로나19 유행으로 경제 충격이 나타났던 2020년 2월(-3.2%) 이후 4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생산은 지난해 11월 1.2% 감소한 뒤 같은해 12월 1.7% 증가하며 반등했다. 이후 지난달 한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 전환했다.

부문별로 건설업, 광공업, 서비스업 생산이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은 기타운송장비(2.8%) 등에서 생산이 늘었지만 기계장비(-7.7%)와 전자부품(-8.1%)에서 큰 감소 폭을 나타내며 전월 대비 2.3% 줄었다. 제조업과 광업은 각각 2.4%, 2.6% 감소한 반면 전기·가스업은 1.6% 증가했다.

제조업 생산이 감소한 것은 기계장비(-7.7%), 전자부품(-8.1%), 고무·플라스틱(-5.2%) 등의 생산이 감소한 데 영향을 받았다.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 및 음식점업(+1.4%), 정보통신(+4.7%) 등은 늘었지만 도소매(-4.0%), 운수·창고(-3.8%), 금융 및 보험업(-1.5%) 등에서 부진을 나타내며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도매업(-5.8%), 소매업(-1.0%), 자동차 및 부품판매업(-0.7%), 육상 운송업(-4.5%), 수상 운송업(-4.5%), 항공운송업(-2.9%), 창고 및 운송관련업(-2.8%) 등 항목이 감소했다.

건설업 생산은 한 달 전보다 4.3% 감소했지만, 공공행정 생산은 2.2% 증가했다.

재화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한 달 만에 마이너스 전환했다.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작년 10월과 11월 0.7%씩 감소했다가 같은 해 12월(0.2%) 소폭 늘어난 뒤 지난달 다시 줄었다.

내구재(+1.1%) 소비는 증가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2.6%), 화장품 등 비내구재(-0.5%)에서 판매가 줄어든 데 영향을 받았다.

소매업태별로 대형마트(+6.4%), 백화점(+4.1%) 판매는 늘었지만 면세점(-12.7%), 편의점(-2.4%),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0.6%), 전문소매점(-0.3%), 무점포소매(-0.2%) 등 대부분 항목이 감소했다.

투자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12.6%),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17.5%)가 감소하며 전월 대비 14.2% 감소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4.1%)과 토목(-5.2%)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직전 달보다 4.3%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기계설치 등 토목(-38.8%), 주택 등 건축(-17.3%)에서 수주가 줄며 전년 동월 대비 25.1% 감소했다.

이에 따라 경기 전망도 악화됐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4p 하락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 대비 0.3p 떨어졌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심의관은 “전월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긴 설 명절로 조업일수 감소로 대부분 주요 지표가 ‘마이너스’를 나타냈다”며 “생산은 반도체 등이 회복을 견인하고 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심리 위축으로 소비, 투자,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