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박혜옥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대상으로 대규모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면서 글로벌 무역 질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4일부터 캐나다의 에너지 제품에 10%, 기타 제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멕시코와 중국도 각각 25%, 10%의 보편 관세를 적용받는다.

각국은 즉각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155조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국민들에게 미국산 제품 대신 자국산을 구매하고, 여행도 국내에서 할 것을 촉구하며 애국심을 호소했다.
캐나다 내 각 주 정부도 강하게 반발했다.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온타리오주는 미국 공화당 강세 지역에서 생산된 주류의 판매 중단을 선언했고, 노바스코샤주는 미국산 상용차의 도로 통행료를 두 배로 인상했다. 캐나다 최대 노동조합 유니포(UNIFOR)도 정부의 강경 대응을 촉구했다.
멕시코도 즉각 반응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경제부 장관에게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포함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를 범죄 조직과 연계시키며 펜타닐 유입 문제를 명분으로 내세운 데 대해 “중상모략”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중국 역시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반발하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WTO 규정을 위반했다며 제소 방침을 밝혔다. 또한, 미국의 조치에 대해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각국 정상들은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트뤼도 총리는 “긴장 고조를 원하지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를 희망했고, 셰인바움 대통령도 대화를 통한 해결을 제안했다. 중국 외교부 역시 미국이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고 중미 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적인 보호무역 정책의 연장선으로 평가된다. 그는 지난달에도 불법 이민 문제를 이유로 콜롬비아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가 9시간 만에 철회한 바 있다.
4일 관세 발효 전까지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남아 있어, 미국과 각국의 추가 대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