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연 입주전망 지수 발표
전월 대비 20p 넘게 하락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문재인 정부 임기동안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천지일보 2022.5.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문재인 정부 임기동안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천지일보 2022.5.9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올해 1월 전국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가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기 침체 우려와 탄핵 정국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는 68.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대비 20.2p(88.6→68.4) 하락한 수치로, 2023년 1월(59.4) 이후 최저치다.

입주 전망 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납부하고 입주할 수 있을지 예측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지수가 낮을수록 입주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의미가 있다.

먼저 수도권의 입주 전망 지수는 전월보다 18.6p 하락한 72.0을 기록했다. 특히 인천은 64.2로, 22.9p 급락하며 수도권 중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경기도는 63.8로 21.9p, 서울은 88.0으로 12.0p 각각 떨어졌다.

5대 광역시도 상황은 비슷했다. 울산은 31.7p 하락한 61.1을 기록했고, 대구(95.6→68.0), 대전(88.2→61.1), 광주(80.0→58.8), 부산(85.0→69.5) 모두 두 자릿수 하락 폭을 보였다.

도 지역 중에서는 전남의 지수가 37.5로 54.1p 급락하며 가장 큰 악화를 나타냈다. 이어 경북(60.0)과 경남(70.5), 세종(78.5)이 각각 40.0p와 29.5p, 21.5p 하락하며 뒤를 이었다.

충북(75.0→81.8), 충남(73.3→80.0), 제주(75.0→78.9)만이 유일하게 소폭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9.7%로 전월 대비 0.7%p 상승했다. 그러나 수도권(79.9%)과 5대 광역시(67.8%)는 각각 2.4p, 1.8p 하락했다. 서울 입주율은 81.4%로 전월 대비 1.1p 줄어들었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인기 지역인 서울아파트 분양시장에서도 계약 포기 물량이 속출하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불안요소가 심화돼 입주율 하락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아파트 미입주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34.0%)’가 꼽혔다. 이어 기존 주택 매각 지연(32.1%), 세입자 미확보(17.0%), 분양권 매도 지연(9.4%)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강도 높은 대출 규제와 경기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아파트 입주 시장의 경색이 심화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상당한 거래량 감소가 예상되며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기까지 거래절벽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