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해 11월 4143조원에 달하는 돈이 시중에 풀린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변동성 확대에 투자 대기성 자금이 늘면서 통화량은 18개월 연속 늘어났다.
한국은행은 14일 ‘통화 및 유동성’ 통계를 통해 지난해 11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 평잔)이 4143조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월보다 0.8%(32조 3천억원) 늘어난 규모다.
M2는 2023년 6월(+0.3%) 이후 18개월째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M2 증가율은 6.4%로 직전월(+6.5%)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인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별로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이 11조 4천억원 늘었다. 자산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투자 대기성 자금이 늘어난 데 영향을 받았다. 또 일부 은행들이 대기성 자금 유지를 위해 입출금이 자유롭고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상품을 확대한 점도 영향을 받았다.
2년 미만 금융채는 시장 금리 하락에 따른 발행 여건 개선으로 5조 5천억원 늘었고, 수익증권(+5조 6천억원), 정기 예·적금(+5조 2천억원)도 증가했다. 반면 시장형 상품(CD·RP, 표지어음)은 단기 은행채를 통한 자금 조달이 늘면서 2조 7천억원 감소했다.
경제 주체별로 가계·비영리단체의 M2가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과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10조 6천억원 늘었다. 기업은 정기 예·적금과 MMF를 중심으로 5조 3천억원, 기타금융기관은 15조 8천억원 늘었다. 기타 부문은 7조 5천억원 줄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248조 9천억원)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1.2%(15조 4천억원)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