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김포시의회 앞에 놓인 근조화환( 독자 제공) 
지난달 27일 김포시의회 앞에 놓인 근조화환( 독자 제공) 

 [천지일보 김포=김미정 기자] 김포시의회의 파행이 벌써 5개월째를 넘어섰다. 상임위원장 선출을 둘러싼 여야 간 갈등은 지역사회의 분노를 불러일으키며, 시의회 정상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각종 예산안과 조례안 심의 지연으로 인한 민생 피해는 이미 심각한 수준이다. 김포시의회 앞에 늘어선 근조 화환과 거리 곳곳에 내걸린 시의원 주민소환 현수막은 김포시의회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김포시는 내년도 본예산 1조 6693억원을 편성해 지난달 시의회에 제출했지만, 본회의조차 열리지 못했다. 이는 단순히 행정 절차의 지연이 아니라, 김포 시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다. 예산 심의가 지연되면서 취약계층 지원, 지역개발 사업, 행정 효율화 모두가 정체 상태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대립 중이다. 현재 김포시의회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시의원이 7대 7 동수로 구성돼 있다. 양당 시의원들은 의회운영위원회 행정복지위, 도시환경위 등의 3개 상임 위원장 선출 문제를 놓고 대립하면서 아직 후반기 원 구성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김포시의 내년도 예산안 심의 등 의사일정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이와 관련 김포시공무원노동조합은 "의회가 김포시 전체를 마비시키고 있다. 시의원들은 조속한 원 구성을 하지 않을 시 전원 사퇴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상임위원장 선출을 두고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민주당은 여당이 협력 대신 독단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반발한다. 이런 정치적 대립은 결국 시민들을 고통 속에 방치하고 있다.

이번 사태의 책임은 여야를 막론하고 모두에게 있다. 당리당략을 넘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할 때다. 국민의힘은 자리 욕심이 아닌 김포시 예산 심의와 시정 발전에 집중해야 하며, 민주당도 협력적 정치로 시민의 선택에 부응해야 한다. 시의회 의장은 초당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시장은 원구성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 시민을 위한 역할을 다해야 한다.

김포시청 공무원노조가 의원 전원 사퇴를 요구한 것은 이례적이지만, 그만큼 현 상황이 절박하다는 반증이다. 공직 사회와 시민단체 그리고 김포 시민들은 정쟁이 아닌 상생을 요구하고 있다.

김포시의회에 따르면 오는 4~18일 15일간 제249회 임시회가 열린다. 이번 임시회는 김포시의회가 갈등을 멈추고 협치를 시작할 마지막 기회다. 이번 회기에서도 원 구성이 불발된다면 시의회는 회복 불능의 신뢰 상실에 직면할 것이다. 더 이상 시민을 외면하는 행동을 멈추고, 생산적인 논의와 결단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정쟁이 아닌 협력, 대립이 아닌 대화, 김포시의회가 진정으로 시민을 위한 의회로 거듭나길 바란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민주당 요구에 따라 상임위원장 선임 건을 제외한 내년 예산안과 추경안을 비롯한 기타 안건 등만 처리하게 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