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바이오 등 22종 소재
69개 차량 부품으로 재탄생
폐차 회수 플라스틱 재활용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기아가 차세대 친환경 차량 비전을 제시하며 버려지는 자원과 천연 소재를 활용한 ‘EV3 스터디카’를 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EV3 스터디카의 탄생 스토리는 기아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됐다.
EV3 스터디카는 차량 내·외장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과 천연 소재를 적용해 설계된 움직이는 실험 모델이다. 글로벌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차량 소재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작됐다.
현대차·기아 AVP(Advanced Vehicle Platform) 본부 기초소재연구센터 주도로 제작된 EV3 스터디카는 기존 EV3 모델의 내·외장 및 샤시 플라스틱 부품 일부를 대체하며 22개 재활용 및 천연 소재 기술을 새롭게 개발해 69개 차량 부품에 적용했다.
EV3 스터디카에는 폐차에서 회수한 플라스틱을 신차 부품으로 재활용하는 ‘Car-to-Car’ 방식이 적용됐다. 이 방식은 폐차 플라스틱을 분쇄·선별하거나 화학적으로 분해해 새로운 차량 부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공정으로 범퍼, 프렁크, 도어 트림 등 주요 부품 제작에 활용됐다.

내장재는 사과 껍질을 활용한 ‘애플 스킨’, 버섯 농가 폐기물을 이용한 ‘버섯 폐배지 기반 레더’ 등 비식용 천연 자원을 활용해 제작됐다. ‘애플 스킨’은 스티어링 휠과 콘솔에, ‘버섯 폐배지 기반 레더’는 무선 충전 패드에 사용됐다. 이는 화학 물질 사용을 줄이고 자원 순환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외관 부품에는 천연 섬유와 바이오 폴리머로 구성된 복합재(NFRP)가 적용됐다. 이 복합재는 섬유 제조 시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해 저탄소 소재로 평가받는다.
기아는 지난 13일과 14일 양일간 남양연구소에서 ‘친환경 소재 및 차량 전시회’를 열어 EV3 스터디카를 임직원에게 공개하며 차량 소재의 친환경 비전을 공유했다.
기아 관계자는 “EV3 스터디카는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을 위해 연구한 결과물”이라며 “앞으로도 차량 주요 소재의 친환경성 확보를 위해 저탄소·재활용 소재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대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는 지구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2045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전 사업장의 재생 에너지 전환, 차량 내 재활용 플라스틱 적용 확대, 국내 갯벌 복원 협력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