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국내 500대 기업 3분기 실적 조사
영업익 58조6151억원… 매출은 776조9907억원
IT전기전자 업종 영업익 전년보다 5배 이상 증가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국내 대기업의 올해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에 그쳤지만, 영업이익은 34%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포함된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이 5배 이상 늘어난 반면 석유화학 업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유가 약세로 적자 전환했다.
1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매출 500대 기업 중 지난 14일(전날)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2곳을 대상으로 올해 3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은 58조 6151억원으로 전년 동기(43조 7881억원) 대비 33.9%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3분기 매출액은 776조 9907억원으로, 전년 동기(743조 9593억원) 대비 4.4% 늘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 규모가 컸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2조 4335억원) 대비 277.4% 늘어난 9조 1834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3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해 7조 3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차지했다.
이어 현대자동차(3조 5809억원), 한국전력공사(3조 3961억원), 기아(2조 8813억원), 한국수력원자력(1조 6012억원), HMM(1조 4614억원), 현대모비스(986억원), 삼성생명(7962억원), LG전자(7519억원) 순으로 영업이익 규모가 컸다.
반면 3분기 영업손실 규모가 가장 컸던 기업은 SK에너지(-5348억원)였다. 이어 에쓰오일(-4149억원), 롯데케미칼(-4136억원), GS칼텍스(-3529억원), HD현대오일뱅크(-2681억원), SK인천석유화학(-1894억원), 한화토탈에너지스(-1668억원), 금호건설(-1574억원), 에스에프에이(-1505억원), 푸본현대생명보험(-1199억원) 등의 순이었다.

작년 3분기와 비교해 영업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SK하이닉스로 조사됐다. 인공지능(AI) 확산 흐름을 탄 고대역폭 메모리(HBM),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특수로 SK하이닉스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조 8220억원 늘었다.
2위는 삼성전자가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조 7499억원(277.4%) 늘었다.
이어 한국전력공사(1조 3995억원, 70.1%), HMM(1조 3856억원, 1827.5%), 한국수력원자력(6931억원, 76.3%), LG디스플레이(5815억원, 적자축소), 교보생명보험(3947억원, 흑자전환), 한국동서발전(2740억원, 125.8%), 한국서부발전(2257억원, 70.4%), 한국남부발전(2221억원, 77.6%) 등의 순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
반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GS칼텍스(1조 5582억원↓, 적자전환)였다.
이어 에쓰오일(1조 2738억원↓, 적자전환), SK에너지(1조 2697억원↓, 적자전환), HD현대오일뱅크(5873억원↓, 적자전환), SK인천석유화학(4987억원↓, 적자전환), 롯데케미칼(4417억원↓, 적자전환), 한화토탈에너지스(4257억원↓, 적자전환), 삼성SDI(3661억원↓, -73.8%), LG화학(3620억원↓, -42.1%), 포스코(2878억원↓, -37.6%) 순으로 영업이익 감소폭이 컸다.
3분기 영업이익 감소액 상위 10곳 중 8곳이 석유화학 업종이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유가 약세로 석유화학 업종 기업의 영업이익이 일제히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21.0% 늘어났다.
한편, 조사대상 기업의 3분기 업종별 영업이익 규모는 IT전기전자(18조 3917억원), 자동차·부품(8조 7552억원), 공기업(8조 2242억원), 보험(4조 8857억원), 운송(3조 2123억원), 서비스(2조 8291억원), 증권(2조 2606억원), 식음료(1조 7335억원), 조선·기계·설비(1조 6437억원), 건설·건자재(1조 4969억원), 여신금융(1조 3173억원), 통신(1조 2434억원), 철강(8039억원), 생활용품(7689억원), 상사(7533억원), 유통(7224억원), 제약(5414억원), 에너지(3616억원), 석유화학(-1조 3302억원)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