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수장과 尹 대통령 통화
나토 “韓과 적극 협력할 것”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북한의 러시아 파병이 여러 정황을 통해 확실 시 되는 가운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와 한국 간 협력도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2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은 전날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한의 파병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면서, 보다 구체적인 정보 공유를 위해 한국이 나토에 대표단을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이는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개입 가능성에 대한 나토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보인다. 뤼터 사무총장은 나토가 러시아와 북한 간의 군사적 협력이 국제 평화와 안보에 미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과 긴밀히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한국이 나토에 대표단을 신속히 파견하고, 한국-우크라이나-나토 간의 안보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번 협력 논의는 북한의 파병 의혹이 제기된 이후 한층 강화된 것이다. 나토는 우크라이나가 처음 북한의 파병 가능성을 제기했을 때부터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유지해왔으나, 북한의 참전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우크라이나 전쟁의 양상이 크게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나토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북한의 파병이 공식 인정될 경우 이는 전쟁에 제3국의 병력이 처음으로 참전하는 사례가 될 수 있다. 이는 서방 국가들이 직접적인 파병에 대해 그동안 명확하게 선을 그어온 입장을 흔들 수 있으며, 나아가 국제전으로 비화할 위험성도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지난 18일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의 발표 이후, 나토의 입장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뤼터 사무총장은 국가정보원 발표 당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국방장관회의 기자회견에서 북한군의 전쟁 참전 여부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아직 확인 불가”라는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이 입장이 변경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뤼터 사무총장이 윤 대통령에게 직접 대표단 파견을 요청한 것은 나토가 북한의 파병 문제를 본격적으로 검증하고 대응할 의지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나토와 한국 간의 협력 확대는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긴급한 과제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나토의 군사 정보 공유 시스템(BICES) 가입 절차가 신속하게 완료되길 희망한다고 밝히며, 나토와의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양국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이에 대해 뤼터 사무총장은 절차의 빠른 진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 BICES는 나토가 사용하는 원격 군사기밀 공유망으로, 윤 대통령은 지난해 나토 정상회의에서 이 시스템에 가입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제안했으며 현재 후속 절차가 진행 중이다.
나토는 이미 2022년부터 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파트너 4개국(IP4)을 정상회의와 외교장관회의에 초청해 왔으며, 올해는 처음으로 국방장관회의에도 초청하는 등 협력을 강화해왔다.
나토는 앞으로도 한국을 비롯한 IP4 국가들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한국의 고위급 인사들이 나토 회의에 정기적으로 참석하는 기회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뤼터 사무총장은 국방장관회의 기자회견에서 방위산업 생산 혁신, 사이버 위협 등 방위 관련 문제들이 인도·태평양 파트너국들에게도 중요한 이슈임을 강조하며, 나토와 이들 국가 간의 협력을 더욱 긴밀히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나토의 행사에 각국 정상과 국방장관들이 정기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