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장국 주재로 회의 열려
북러 무기 거래 논란 공식 논의

[천지일보=최수아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현지 시간 28일, 북한과 러시아 간 불법 무기 거래 문제를 주제로 공식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6월 의장국인 한국 주재로 열렸으며, 회의 초반부터 러시아와 서방 국가 간의 강한 충돌이 발생했다.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비확산/북한’을 의제로 하는 공식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주재자인 황준국 주유엔 한국 대사는 북러 무기 거래와 관련된 증거를 제시하며 회의를 시작했다. 그는 “북한이 지난해 9월 이후 최소 1만 개의 컨테이너에 담긴 약 500만 발의 포탄을 러시아로 보냈다”고 강조했다. 이는 모두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어 황 대사는 “더는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다”며 “안보리는 전문가 패널의 해체에도 북한의 제재 위반과 회피를 계속 포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러시아 측 바실리 네벤자 대사는 회의 초반, 유럽연합(EU)과 우크라이나가 발언국으로 초청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이들이 북한과 무관하며,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중립 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네벤자 대사는 북러 무기 거래 의혹이 근거 없다는 주장을 되풀이하며 EU와 우크라이나의 참석 목적은 서방 이사국들의 주장에 동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로버트 우드 주유엔 미국 차석대사는 북한 무기가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된 사례를 언급했다. 이번 사안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유럽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관련국의 초청은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또 영국과 프랑스 대사들도 의장국 한국의 결정을 지지했다.
회의에 앞서 한미일을 비롯한 48개국과 유럽연합(EU)은 공동 선언문을 통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에 크게 기여한 북러 간 불법 무기 이전을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회의에서 나카미츠 이즈미 유엔 사무차장 겸 군축고위대표는 북한산 무기가 불법적으로 러시아로 이전돼 우크라이나 전쟁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이 대북 제재를 위반한 것이라고 강하게 규탄하며, 최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양국이 체결한 새로운 조약도 비판했다.
러시아는 이번 회의에서 절차 투표를 요청하지는 않았지만, 서방 국가들의 비난에 대해 “유엔 안보리를 이용해 반러시아, 반북 내러티브를 부추기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대북 제재의 해제 필요성을 주장하며 서방의 일방적 제재가 북한 주민의 어려움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김성 주유엔 북한 대사는 러북 간 협력이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양국 간 발전과 복지를 증진하는 방어적 성격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회의는 대북 제재를 감시하던 전문가 패널이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해체된 이후 안보리가 북러 무기 거래 관련 회의를 개최한 첫 사례로, 유엔대표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주요 대북 제재 위반 사례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설명했다.
황 대사는 회의를 마치며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을 강화하는 것에 깊이 우려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의장국 수임 기간 중 인권, 사이버, 비확산 등 주요 북한 문제에 관한 안보리 공식 회의를 모두 개최하며 의장국 활동을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