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두산중공업이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에 나섰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기술은 고효율, 발전설비 소형화 등의 장점을 가진 차세대 발전기술로 꼽히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상용화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미국 에코젠파워시스템즈(Echogen Power Systems)와 ‘초임계 이산화탄소 폐열회수 발전설비 기술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에코젠파워시스템즈는 세계 최초로 7MW급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설비 실증시험에 성공하는 등 이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꼽히는 업체다.
기존의 발전설비는 고온고압의 증기로 발전소 주기기인 터빈을 구동하는 방식인데 반해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기술은 이산화탄소를 가열해 터빈을 돌리는 방식이다.
이산화탄소는 증기에 비해 낮은 온도와 압력으로도 초임계 상태에 도달하는 특징이 있어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게 되면 에너지 효율이 높아진다.
주요 설비의 소형화가 가능해 발전소 건설비용이 적게 들고, 수분으로 인한 터빈 부식이 없어 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기술은 특히 폐열을 활용할 수 있는 시멘트, 철강 등 산업 플랜트 발전설비용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플랜트에서 나오는 폐열은 온도가 높지 않아 버려지는 실정이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발전용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 송용진 전략기획총괄은 “시멘트, 철강 플랜트 발전 설비용만 놓고 볼 때 세계 시장은 연간 2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두산중공업은 매년 1000억원 이상의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앞서 지난 3월 발표한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에 따라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시스템을 개발해 에너지산업의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을 밝힌 바 있으며,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 두산그룹, 수출입은행과 금융협력 위한 MOU 체결
-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중앙대 이사직 물러나
- 두산重, 베트남서 1조 규모 석탄화력발전소 공사 수주
- 두산중공업, UAE 원전 2호기용 원자로 출하… 朴 대통령 참관
- 두산重, 7100억원 강릉 안인화력발전소 주기기 수주
- 두산중공업, 1600억 규모 화성동탄2 신도시 집단에너지시설 공사 수주
- 두산重, 오만·영국서 수처리 플랜트 연속 수주… 총 1760억 규모
- 두산, 제2회 트라이애슬론·아쿠아슬론 대회 개최
- 두산중공업, 발전설비 전시회 ‘파워젠 아프리카’ 참가
- 두산重, 美 NAC와 사용후핵연료 저장 용기 공동개발
- 두산重, 스마트그리드 ESS 분야 주관사업자로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