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30대 그룹 계열사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전년도와 비교 가능한 268개 기업의 임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 1분기 말 기준 임원 수는 1만 486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12명(1.1%) 감소했다.
롯데·한진 등 15개 그룹이 181명을 늘렸지만, 삼성·현대중공업 등 13개 그룹이 293명이나 줄여 전체 임원 수는 100명 이상 줄었다. 효성그룹은 변함이 없었고, 부영은 비상장 그룹이어서 제외됐다.
그룹별로 임원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삼성으로 2604명에서 2510명으로 94명이나 줄었다. 삼성전자가 29명을 줄였고, 제일모직과 합병을 추진 중인 삼성물산이 25명, 삼성엔지니어링이 23명 줄었다. 이 밖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중공업도 각각 13명, 7명을 감축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366명에서 309명으로 57명을 줄였다.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한 현대중공업에서만 42명이 감소했다.
동부그룹 역시 주력 계열사 중 하나인 동부제철을 떼어내 43명을 줄였다. 동부제철 임원은 19명, 주력 계열사인 동부건설에서도 15명이 감소했다.
포스코그룹이 33명을 줄였고, 두산 27명, 대우조선해양 12명, LS 10명, 현대 7명, 대우건설 6명 순으로 임원을 줄였다. 현대차, KT, OCI, 에쓰오일, 동국제강은 각각 1명씩 줄였다.
반면 롯데, 한진, CJ, 현대차, GS, SK 등 15개 그룹은 임원을 늘렸다. 롯데그룹은 34명으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롯데건설은 56명에서 82명으로 26명이나 급증했다. 이어 한진 23명, CJ·현대차 각각 19명, GS·SK 각각 17명 순으로 늘었다.
이 같은 그룹 재편과 구조조정 속에서도 임원들의 평균 나이는 52.4세로 1년 전에 비해 0.2세 높아졌다. 그룹별로 보면 28개 그룹 중 23곳의 임원 평균 나이가 전년보다 높아졌다. 반면 동국제강, 동부, 현대, 현대중공업, 롯데 등 5개 그룹이 낮아졌다.
임원 평균 나이가 가장 많은 곳은 56.5세의 대우조선해양이었다. 이어 포스코와 대우건설이 각각 55.6세, 55.2세로 뒤를 이었다. 한화, 금호아시아나, KT, 두산, GS, LS, 효성, 한진, KCC, 동국제강, 현대차, 대림, S-Oil, 동부, 영풍, 현대중공업은 52~54세였다.
임원 평균 나이가 가장 적은 곳은 48.7세의 미래에셋이었다. 다음은 CJ로 50.1세였다.
부영은 사업보고서 제출 기업이 없고, SK는 직급 구분이 안 돼 임원 평균연령 조사에서는 제외됐다.
- 30대 그룹, 비업무용 부동산 30조 넘어서… 2년새 15%↑
- 30대 그룹, 국내외 매출 모두 ‘뒷걸음’
- 30대 그룹 장애인 고용률 1.9%… 평균 이하
- 30대그룹 고용 증가율 1.3%… 사실상 ‘제자리걸음’
- 30대 그룹, 5년간 203곳 인수·합병… 29조원 쏟아 부어
- 30대 그룹, 올해 투자 늘리고 고용 줄인다
- 현대重, 세계 최초로 ‘움직이는 선실’ 개발
- 효성, 협력사 ‘스마트공장’ 지원 3배 이상 확대
- 포스코, 사우디와 동반자 시대 열었다
- 30대 그룹 총수 보유 집값, 상반기 평균 5.5%↑
- 30대 그룹 절반 ‘경영난’으로 지난해 직원 수 줄여
- 산업·수출입은행, 대우조선 경영 정상화 책임진다
- 30대 그룹 수익성 최악… 금융위기 때보다 악화
- 30대 그룹 계열사 70%, 여성 임원 ‘제로’
- 30대 그룹 상장사 임원 연봉 7.5억, 직원의 11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