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이 4.29 재보궐선거에서 승리를 거둠에 따라 정부·여당이 정국 주도권을 쥐었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반면 텃밭에서조차 패배한 야당은 야권재편의 요구가 거세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여야 모두 재보선 민심을 겸허하게 수용한다며 자세를 낮췄지만, 향후 정국은 정쟁의 소용돌이에 언제든 빠질 가능성이 크다.

우선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진행형이라는 점에서 이를 둘러싼 여야 간 공방이 치열할 것으로 관측된다. 재보선 이후 여야가 ‘총선 모드’로 들어간다는 점에서 정국 우위를 점하기 위한 공방이 불가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박근혜 대통령은 성완종 파문에 대해 “이번에 과거부터 내려온 부정과 비리, 부패척결을 해서 새로운 정치개혁을 이룰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성완종 파문이 여야를 불문하고 그간 우리 정치의 후진적 구조가 만든 정치부패사건이라는 의미다. 결국 검찰의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성완종 사면’을 둘러싼 지루한 공방을 이어갈 수 있다. 자칫 진상규명은 고사하고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처럼 진흙탕 싸움을 벌이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따라서 여야가 재보선 민심을 수용한다면, 산적한 주요현안 처리를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양측이 정치적 공방만 벌이다가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특히 박 대통령이 “새로운 정치개혁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공언한 만큼, 여야도 이를 반드시 실행에 옮겨주길 바란다. 이번 성완종 파문을 바라보는 국민의 심정은 착잡하기만 하다. 정치권 전체의 고질병이라는 점에서 서로 ‘네 책임’이라고 손가락질을 할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번 파문을 계기로 해서 투명한 정치문화를 보여줄 수 있도록 뼈를 깎는 정치개혁에 나서야 한다. 그렇게 했을 때 재보선을 통해 드러난 정치권을 향한 불신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