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청와대는 야당이 이 후보자에 대한 ‘인준 불가’를 고수하고 있어 난감한 입장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주말 동안 긴장감 속에서 국회 상황을 주목했다. 특히 이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주장하고 있는 야당에 더욱 촉각을 세웠다. 새정치연합 김진욱 부대변인은 14일 “더 이상 국민과 청와대, 여당에 부담 주지 말고 본인 스스로 거취를 정리하라”면서 “그것이 국민에 대한 예의이고, 본인을 지명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마지막 예의 아니겠느냐”고 날을 세웠다.
청와대는 이 후보자의 인준안 처리와 맞물려 후속 인사개편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후속 인사개편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동력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민경욱 대변인은 여야가 본회의 개최를 16일로 연기한 이후 “총리가 인준되면 제청을 받아 개각을 하겠다는 원칙은 그대로”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이 후보자의 인준안 표결 직후 또는 17일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설 연휴 전에 개각을 단행해야 ‘밥상 민심’이 악화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각종 의혹이 제기된 이 후보자의 인준안이 통과되더라도 ‘반쪽 총리’라는 꼬리표가 달릴 수 있다는 게 우려스럽다. 만약 인준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청와대로선 최악의 시나리오가 된다. 이럴 경우 인사개편 시점은 또다시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이 후보자의 인준안과 맞물려 개각의 폭과 범위도 주목된다. 그동안 정치권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인적쇄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됐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소폭개각에 비중을 둔 데다, 국정운영의 연속성을 고려하면 개각의 폭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여야가 인적쇄신의 상징으로 꼽은 김기춘 비서실장의 교체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현 비서실장 후보로는 권영세 주중대사가 유력한 가운데 현경대 수석부의장과 허남식 전 부산시장, 황교안 법무부 장관, 김병호 언론진흥재단 이사장 등이 거론된다. 현재 박 대통령은 복수의 후보군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각 대상으로는 해양수산부와 통일부 등 2~3개 부처 장관이 거론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