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병 정치평론가

 
유승민 신임 원내대표가 당선된 뒤 처음 열린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 친박계 좌장 서청원 최고위원이 불참했다. 한때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렸던 이정현 최고위원도 불참했다. 그렇다 보니 당내 권력지형이 극명하게 드러나고 말았다. 게다가 유승민 원내대표는 친이계 재선의 조해진 의원을 원내수석부대표로 내정했다. 바로 직전의 이완구, 김재원 조와 비교하면 누가 봐도 확 바뀐 모습이다. 친박계 몰락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긴장과 협력

일각에서는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로 세팅된 새누리당 지도부가 인사문제와 정책이슈 등을 놓고 청와대와 강하게 충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과연 그럴까. 물론 지금 당장은 그렇게 보이기도 한다. 유승민 원내대표가 당선 일성으로 청와대와 정부의 대폭적인 인사혁신을 요구하자, 청와대 측은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며 정면 반박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김무성 대표가 증세 없는 복지라는 말로 국민을 속여서는 안 된다고 하자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당분간 증세는 없다고 못을 박았다. 이렇듯 유승민 원내대표 당선 이후 당청관계가 곳곳에서 충돌하는 모습은 사실이다. 서청원, 이정현 최고위원이 첫 최고중진연석회의에 불참한 것도 이런 불만과 견제의 의미가 클 것이다.

그러나 당청관계는 당분간 외적으로는 충돌의 모습을 보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충돌을 피하려는 노력이 더 클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긴장과 협력 관계’가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 당청관계의 충돌은 당장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에게도 불리하다. 살아있는 최고 권력과 충돌해서 크게 득을 본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아무리 지지율이 빠졌다고 하더라도 청와대 권력은 당권과 비교할 바가 아니다. 이런 점을 잘 아는 당 지도부가 대놓고 청와대와 충돌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게다가 큰 꿈을 꾸고 있는 김무성 대표라면 지금은 청와대의 도움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지금 겉으로 표출되고 있는 당청관계의 충돌은 일시적인 긴장국면, 즉 국지전일 뿐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새누리당 지도부와 충돌해서 손에 쥘 것이 많지 않다. 성공한 정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당 지도부와 긴밀히 협조하고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으로 3년 뒤면 물러나야 할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3년 뒤를 도모하는 김무성 대표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집권 3년차의 국정성과를 바라는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유승민 원내대표도 마음에 차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시점에서 박 대통령이 어떻게 할 방법은 없다. 어차피 시간은 당권을 쥔 쪽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청관계는 당분간 ‘협력적 상생관계’로 갈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긴장과 협력’의 완급을 잘 조율하는 정치력이 양측 모두에게 요청된다. 특히 박 대통령도 아프지만 이런 현실을 빨리 인정해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