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DI는 12일 미국 디트로이트 코보(Cobo)센터에서 개최된 ‘2015 북아메리카 국제 오토쇼(NAIAS)’에서 전기차용 배터리와 일반차량 내·외장재용 기능성 소재를 함께 전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제일모직 소재부문과의 통합 이후 삼성SDI가 자동차용 배터리와 소재를 함께 전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SDI는 기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의 경쟁력을 자동차용 경량화·기능성 소재 분야로 확대해, 글로벌 자동차시장에서 제조사와 고객이 모두 만족하는 솔루션을 제시하고 리딩해 나간다는 목표다.
삼성SDI는 이 자리에서 대용량 배터리 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전기차(EV) 호환용 배터리 모듈, 컴팩트 디자인 셀, 저전압 시스템용 배터리 모두 4가지 분야에서 전기차용 배터리를 선보였다.
먼저 대용량 배터리 셀은 한번 충전으로 3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는 120암페어(Ah)급 모델이다. 즉 한 번 충전으로 제주도 외곽 해안도로를 한 바퀴 반 이상 운행할 수 있게 된다.
PHEV-EV 호환용 모듈은 PHEV용 셀과 EV용 셀 크기를 동일하게 만들어 양쪽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이로 인해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를 디자인할 때 배터리 탑재 공간을 표준화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를 통해 삼성SDI가 향후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표준화도 선도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세 번째는 기존 원형 2차전지 수준까지 높이(Height)를 줄인 컴팩트 디자인 셀이다. 기존 HEV용 셀보다 높이는 약 20mm 이상 줄어들었으나, 용량은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구현했다.
마지막으로 기존 원형 2차전지 수준까지 높이를 줄인 콤팩트 디자인 셀과 자동차용 납축 배터리를 대체하거나 덧붙여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인 LVS(Low Voltage Systems) 제품을 선보였다.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부장 정세웅 부사장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고객과 시장이 원하는 다양한 솔루션과 제품을 선보이고자 했다”면서 “미주시장을 비롯,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삼성SDI는 기존 IT·가전제품용 소재분야에서 축적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경쟁력을 자동차용으로도 확대해 다양한 친환경, 고기능성 자동차용 내·외장재를 선보였다.
대표적인 것이 ‘무도장(無塗裝) 메탈릭 소재’이다. 이 제품은 소재 자체가 고유의 색을 띄고 있어 별도의 도장 공정이 필요 없다. 스크래치에 의한 색 벗겨짐이 적을뿐더러, 쉽게 변색되지 않는다. 이 제품은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인 포드의 15년형 몬데오 센터페시아에 적용됐다.
지난 해 미국 SPE Automotive Innovation Award 소재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자동차 업계에서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케미칼사업부장 이승구 부사장은 “부품업체 대상 제품 개발은 물론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고부가 소재 제품 비중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면서 “차별화된 제품 역량을 확보해 시장을 리딩할 수 있도록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삼성SDI, 마그나 전기차 배터리 팩 사업 인수… 세계 최고 경쟁력 확보
- 삼성SDI, 감성소재로 獨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 삼성SDI-협력사, 상생협력 다짐… 동반성장 3대 과제 추진
- 삼성SDI, 1분기 영업익 68억… 전분기 대비 81.7%↓
- 삼성SDI, 에너지·소재 양대 부문 폐지… 4개 사업부 체제로
- 삼성SDI ‘제안왕’에 장현석 사원… 1000여건 아이디어 내
- 삼성SDI, 협력사와 ‘동반성장 대축제’ 개최
- 삼성SDI, 내년 1분기 中에 ESS 합자사 설립
- 삼성SDI,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372억원… 전분기比 1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