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장현 광주시장이 5일 오후 시청 5층 브리핑룸에서 공공부문 비정규직에 대한 정규직화 계획을 주요 내용으로 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 발표

[천지일보 광주=이지수 기자] 광주시가 오는 2017년까지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전원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5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공공부문 비정규직에 대한 정규직화 계획을 주요 내용으로 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윤 시장은 지난 2일 오후 2015년 첫 공식 업무로 이 사안을 결재해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이번 대책에 따르면 광주시는 본청과 직속기관 및 사업소, 공사·공단, 출자·출연 기관을 아우른 공공부분 비정규직 1366명 중 간접고용 용역근로자 896명 전원을 단계별, 시기별로 정규직화 한다. 또 기간제 근로자 300명은 사업완료 등 법·지침상 제외자를 뺀 나머지에 대해 계약만료와 함께 자체 전화시키며 단시간 근로자 170명도 생활임금 적용 등 처우를 개선키로 했다.

광주시는 2월 계약기간이 임박하고 처우가 열악한 시 본청 소속 74명의 간접고용 용역근로자를 직접고용으로 전환한다.

전환대상은 상시·지속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용역근로자이며 기본체계는 간접고용 비정규직→직접고용 비정규직(준공무직)→직접고용 정규직(공무직)으로 하는 안으로, 기준인건비 등 제약요건을 고려해 분야별, 단계적으로 정규직화 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1차 전환대상자 74명을 직접 고용하기 위해 1월 중에 고용유지 조항이 명기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2월 9일에 직접 고용에 따른 간담회와 함께 신분증 수여식 등을 가질 예정이다.

2차 전환대상자 822명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 및 처우개선 세부실행 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각 기관별 경영효율성과 특성을 고려한 임금, 노무관리 체계 등을 마련해 정규직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윤장현 시장은 “그 누구도 소외되거나 차별받지 않고 더불어 함께 가는 것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의 핵심이자 대원칙”이라며 “행정에서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의견을 생생히 듣고 그들의 의사를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