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정윤회씨의 국정개입 의혹이 담긴 청와대 문건의 실체와 유출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르면 다음주 초 박지만 EG회장을 소환할 예정이다. 또 문건을 작성·유출했다고 지목된 이른바 ‘7인회’에 대한 소환도 이뤄질 전망이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사건 관련자 진술과 통화기록 등을 통해 문건의 작성과 반출, 외부 유포에 관한 기본적 사실관계를 거의 규명한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박관천 경정은 ‘정윤회 문건’을 비롯해 자신이 작성한 문건 100여건을 경찰 복귀 시점인 지난 2월 청와대에서 반출했고,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 최모·한모 경위가 이 중 일부를 빼돌려 유포했다게 골자다.
최 경위는 이를 세계일보 등 언론사와 대기업에 돌렸고, 박 경정은 지난 4월 문건 유출 사실을 확인하고 청와대 측에 알린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최 경위가 뿌린 문건의 유포 경로, 박 경정이 청와대 측에 문건 유포 사실을 알린 이후의 수습과정 등에 대해 막바지 확인작업에 들어갔다.
지난 4월 문건 유출의 책임을 지고 사직한 조 전 비서관은 유출 문건이 세계일보 등으로 흘러간 사실을 박 경정으로부터 들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비서관은 문건 속에 박지만 회장의 측근 동향이나 부인 서향희 변호사와 관련된 내용이 담겨있어 지난 5월 박 회장과 세계일보 기자의 만남을 주선했다는 주장을 언론을 통해 내놨다.
청와대는 조 전 비서관이 지난 5월 청와대 오모 행정관을 통해 문건 사본과 문건 유출 경위서 등을 제출했지만, 사실관계를 왜곡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문건 작성·유출을 조 전 비서관이 주도했다고 감찰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조 전 비서관은 “감찰 결과는 조작”이라고 맞서고 있다.
검찰은 박 회장을 상대로 유출된 청와대 문건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 국가정보원과 청와대에 본인과 관련된 문건의 유출을 조사해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있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청와대가 지목한 7인회에 대한 소환도 검토 중이다. 문건의 작성·유출 경위를 수사하는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는 최모 경위와 한모 경위에 대한 수사를 진행한 뒤 7인회에 대한 조사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 [사설] 박지만과 정윤회, 대질조사 하라
- [영상뉴스] 정윤회 검찰 출석 “불장난에 춤춘 사람들 밝혀질 것”
- 정윤회 검찰 출석 “불장난 누가했는지 밝혀질 것” 결백 주장
- [포토] 굳은 표정으로 소환되는 정윤회
- 여야 ‘2+2 연석회의’… 사자방·공무원연금 빅딜 하나
- ‘문건 파문’ 정윤회 검찰 출석
- ‘박춘봉 얼굴 공개’ 경찰 “범죄 근거가 있기 때문에 법에 따라 얼굴 공개”
- ‘정윤회 문건’ 유출 혐의 최모 경위 자살… 고향집 부근 차량서 발견
- 쌍용차 해고노동자, 평택공장 70m 굴뚝에 올라 고공농성
- ‘문건 유출’ 대격돌 불가피
- 청와대 ‘문건유출혐의 경찰 회유설’에 “접촉한 사실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