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차단, 남대문 고사위기”
서울시의회서도 진통 이어져
예산 대비 효과, 의견분분
[천지일보=김민아 기자] 서울역 고가 공원화를 둘러싼 갈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서울시가 고가 공원화 추진에 드라이브를 건 가운데 이해 당사자인 남대문시장 상인회가 반대를 위한 단체 행동에 돌입했고, 서울시의회에서도 새누리당 시의원을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해관계가 얽힌 지역주민 역시 서울시의 계획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서울역 고가 공원화는 남대문5가와 만리동을 잇는 서울역 고가의 차량 출입을 막고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0월 미국을 방문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안전등급 D등급을 받아 철거될 예정이었던 서울역 고가를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파크 같은 ‘공중정원’으로 재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고가의 차량 출입이 중단되면 남대문 상권과 중림동, 회현동, 청파동, 공덕동에 있는 상가와 주민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당사자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8일 서울시가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해 마련한 ‘서울역고가 프로젝트 시민 토론회’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분출했다.
이민호 남대문시장 상인회 본부장은 “남대문시장은 도·소매업 상인 1만 2000명, 종사자 5만 명, 노점상 400명 등이 하루하루 벌어 먹고사는 삶의 현장”이라며 “하루 벌지 못하면 가족이 굶는다. 모든 물품 반·출입이 이뤄지는 퇴계로를 막아버리면 우린 죽을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마포구를 대표해 나온 허정행 구의원은 “남대문·동대문의 패션 타운 상품은 만리동의 1500개 가내수공업 공장에서 만들어진다”며 “서울역 고가가 공원화된다면 동서가 단절되고 지역경제는 망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 예산을 심의하는 서울시의회에서도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물론 박원순 시장과 같은 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 사이에서도 반대론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서울시는 공원화 사업에 철거비용 등 예산으로 100억 원을 요청한 상태다. 2016년까지 총 380억 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예정으로 예산대비 효과를 둘러싼 의견이 분분하다.
새누리당 이혜경(중구2) 의원은 “애초에 서울역 고가는 철거하는 것으로 정해져있었는데 갑자기 바뀌었다”며 “하루 4만 6000대, 시간당 2800여 대의 차량이 움직이는 곳에 교통 대책 없이 공원 조성 발표부터 한 것은 절차상으로도 맞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는 “지역주민 의견을 얼마나 들었는지 의문이 생긴다. 주민들은 무시당했다고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고가 공원 조성을 지역주민 50% 이상이 찬성했다는 설문조사도 얼마나 공정성 있게 한 것인지 살펴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