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후 청와대에서 통일준비위원회 제3차 회의 참석자들과의 오찬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 청와대)
통일준비위 3차 회의… 민간교류·협력 강조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2일 “북한인권 문제는 인류 보편적 가치 보호 차원뿐만 아니라, 통일한국의 미래를 위해서도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통일준비위원회 제3차 회의에서 “북한 주민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누려야 통일 이후 남북 주민의 통합도 빨라질 수 있고, 행복한 통일을 이룰 수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박 대통령은 “내년은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년이 되는 해로 남북관계를 발전시키고 북한의 의미 있는 변화를 끌어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일준비위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가운데 하나는 남북 간 민간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통일준비위의 역할과 활동방향과 관련해 “남북은 물론 국제사회까지 관심과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남북이 각각 따로 아리랑을 유네스코에 등재한 사실을 언급하며 남북 아리랑이 함께 유네스코에 등재됐다면 더욱 의미가 컸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우리 민족 고유문화를 남북이 함께 발굴하고 세계에 알린다면 민족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세울 수 있고, 남북의 동질성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또한 “통일된 한반도는 남과 북이 함께 살아갈 삶의 터전”이라며 “남북이 함께 산림을 조성하고 서로에게 필요한 종자를 교환하는 등 작은 환경 협력부터 시작을 했으면 한다. 북한 주민에게 꼭 필요한 식수와 토양개선 사업을 비롯해 소규모 친환경 에너지 지원 사업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욱 통일준비위 민간 부위원장은 이날 통일헌장 시안을 연말까지 작성하고, 내년 상반기 중 공청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정 부위원장에 따르면, 통일헌장은 ‘공영통일, 평화통일, 열린 통일’을 기조로 하며 ‘민족과 이웃이 행복한 선진민주국가, 21세기 신문명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