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의원이 당권에 뛰어들어야
현재 친노 계열에서는 문재인 의원이, 비노(非盧) 쪽에서는 범친노계 정세균 의원이 차기 당 대표 후보로 거론된다. 이밖에도 구 민주당계 박지원 의원이, 그리고 비주류계에서는 김영환 의원도 전당대회 출마를 고려하고 있다. 크게 본다면 차기 당 대표 경선도 친노 대 비노 대결로 압축될 것이다. 정세균계가 어느 쪽으로 붙을지가 변수로 남아있긴 하지만 당내 경선은 ‘친노의 힘’을 뛰어 넘기가 어렵다. 따라서 돌발변수가 없는 한 친노를 대표하는 문재인 의원이 가장 유력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문재인 의원이 당권 도전에 나서면 안 된다는 주장이 잇달아 제기되고 있다. 정세균 의원이나 박지원 의원의 경우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문재인 의원의 출마를 저지할 경우 그들이 당권에 더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친노계 일부에서, 또는 당 안팎에서도 문재인 의원의 불출마를 공공연히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그들의 정치적 속셈은 무엇일까. 과연 새정치연합의 미래를 위한 것일까.
천만의 말씀이다. 문재인 의원의 불출마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계파주의 청산에 대한 여론의 두려움이 크다는 점이다. 만약 문재인 대표가 된다면 그 앞에는 ‘계파주의 청산’이라는 절박한 과제가 더 강하게 압박할 것이다. 문재인 의원 자신이 최대, 최강 계파의 수장인데다가 당대표라는 권한까지 잡았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해법을 내놓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그가 택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법은 무엇일까. 어쩌면 자신을 비롯해서 친노 강경세력을 차기 총선에 출마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실질적인 계파주의 청산을 결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이런 결단이 없다면 당 혁신은 허상이 되고, 자칫 분당도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위험성과 우려 때문에 문재인 의원의 출마를 막으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이런 전략적인 고민마저 사치스러울지 모르겠다. 당이 붕괴되면 총선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대선은 꿈같은 얘기일 뿐이다. 그렇다면 고민할 시간조차 허비해선 안 된다. 당당히 대표 경선에 나서서 당의 붕괴를 막아야 한다. 그리고 당 대표가 된다면 근본적인 혁신을 단행해야 한다. 그나마 그것이 문재인과 친노의 강점이다. 지금은 말 그대로 비상체제임을 잊어선 안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