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세계은행교육혁신 심포지엄’ 축사에서 창의교육 강조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4일 “창조경제의 성공은 이를 뒷받침할 새로운 유형의 교육혁신 모델 정립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한국-세계은행교육혁신 심포지엄’에 참석, 축사를 통해 “지금은 누가 더 창의성과 아이디어로 혁신을 이끌어내는지에 개인과 국가의 미래가 좌우되는 시대”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이날 “그동안 축적해온 교육의 노하우에 선진국 우수 사례를 접목하고 이제까지의 교육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행복교육, 창의교육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21세기 창조경제 시대를 맞아 우리 교육도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현재 우리 학생들은 과도한 교육열과 입시 경쟁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배움의 즐거움을 만끽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 교육은 혁신을 이뤄낼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도전 정신을 키워내는 원천이 되어야 한다”며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가득한 융합 인재를 길러내는 창의 인재 양성교육으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현재 한국 정부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 창의적 인재를 키우는 교육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지식과 기술 습득이 아니라 창의적 역량을 최대한 개발하는 교육으로 변화시키고, 상대에 대한 존중과 배려, 책임감을 바탕으로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을 이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교육개발원과 세계은행 주최로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김 용 세계은행 총재와 미국, 홍콩, 싱가포르 등 국내외 교육·경제분야 전문가 300여 명이 참석했다.
박 대통령과 김 총재는 지난해 12월 면담에서 창의 인재 육성의 중요성에 공감했고, 이후 한국교육개발원 등 우리 국책연구기관과 세계은행은 한국의 교육혁신 방안 도출을 위한 공동연구에 착수, 그동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 삼성, 대구·경북지역 우수 벤처 기업에 100억 투자
- SK그룹 주요 CEO들 “내년 전략적 혁신 통해 위기 극복”
- [미래산업 인재양성①] 대한민국 창조경제 소프트웨어교육에 달렸다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종합과학문화축제로 새롭게
- 허창수 GS 회장 “불확실성 속 성장 기회 모색하는 역발상 필요”
- 산업부, 朴 대통령 이탈리아 방문 경제사절단 41명 발표
-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 SK 연계로 확대 출범
- [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 인근에 ‘넥스트 판교’ 조성
- 최양희 장관 “창조경제 성과 위한 마중물 역할에 집중”
- 박근혜 대통령 ‘유엔 무대’ 데뷔… 24일 총회 기조연설
- 허창수 GS 회장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변화ㆍ혁신”
- 다음카카오, 뱅크월렛 모바일 지갑 11일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