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개막(20일)을 나흘 앞둔 16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Bexco) 행사장에서 열린 에볼라 대응 모의훈련. 보호장구를 착용한 보건소 직원이 소독액으로 발열환자가 머문 장소를 소독하고 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부산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오는 20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를 앞두고 에볼라 바이러스 비상이 걸린 것이다. 이번 회의에는 정부대표단 3000여 명을 포함해 일반 관람객 60여만 명이 부산을 방문한다.
특히 에볼라 발생 위험국으로 거론된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 세네갈, 콩고 등 서아프리카 6개국에서도 176명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부산 시민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치사율은 90%수준이며 혈액이나 체액 등 직접 접촉뿐만 아니라 옷이나 침구류 등 외부적인 오염을 통해서도 감염된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이날 부산광역시와 함께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권회의에 앞서 해운대 벡스코 행사에서 에볼라 대응 모의훈련을 벌였다. 고열환자가 실제로 발견된 상황을 가정하고 발열 감시, 환자 확인, 이송, 격리 입원, 치료 등의 모든 과정을 점검한 것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10일 대책 회의를 열고 부산에서 열리는 ITU 전권회의와 관련한 에볼라 예방관리 대책을 점검하기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논평을 통해 에볼라 방역대책을 촉구했다.
새정치민주연합 허영일 부대변인은 “에볼라 발병국에서 35명이, 위험국가 3곳에서도 14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인데 정부의 방역 대책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며 “발병국 입국자에 대해서는 체온계를 지급하고 아침에 발열여부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에볼라는 잠복 기간이 길고 피부 접촉만으로도 쉽게 전염이 가능한 질병으로 그 대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면서 “정부는 국민 안전이 어떤 국익보다 앞선다는 확고한 원칙을 갖고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철저한 방역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