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에 비만 노인 수, 지금보다 2배 늘 것”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우리나라 노인 3명 가운데 1명은 비만으로 노인 비만율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질병관리본부가 최근 발간한 ‘우리나라 노인의 비만 유병률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평균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5.0%에서 2012년 34.2%로 9.2%포인트 올랐다.

대한비만학회의 비만치료지침에는 체질량지수(BMI) 25(㎏/㎡)인 경우 비만으로 정의하며, 25.0∼29.2를 1단계 비만, 30 이상을 2단계 비만으로 나눠 비만 정도가 분류돼 있다. BMI가 23.0∼24.0인 경우는 비만은 아니지만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위험체중(과체중)이다. 18.5∼22.9는 정상체중, 18.5 미만은 저체중이다.

이 같은 기준을 적용해 질병관리본부는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남성 노인의 25.7%, 여성노인의 40.1%가 1단계 또는 2단계 비만으로 나왔다. 허리둘레를 기준(남성 90㎝ 이상, 여성 85㎝ 이상)으로 보면 남성의 26.8%, 여성의 40.8%가 비만이다.

또 비만에 과체중, 저체중까지 고려하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노인은 남성 42%, 여성 35%로 매우 저조했다.

지역별로 보면 1998년에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29.8%)이 농촌지역 노인(18.7%)에 비해 비만 유병률이 훨씬 더 높았다. 그러나 2012년에는 도시지역 노인 비만 유병률이 34.7%로 소폭 상승한 반면 농촌지역 노인의 비만 유병률은 33.1%로 2배 정도 증가하는 등 지역 간 격차가 작았다.

성별로는 남성 노인의 비만유병률이 1998년 11.2%에서 2005년 27.8%로 크게 늘었다가 2012년 25.7%로 줄었다. 같은 기간 여성 노인의 비만유병률은 33.3%, 36.1%, 40.1%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농촌에 사는 여성 노인의 비만유병률은 1998년 25.4%에서 2012년 40.3%로 급격한 증가했다.

질병관리본부의 김윤아 보건연구관은 “노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현재의 비만 유병률에서 더 증가하지 않더라도 2030년이 되면 비만 노인 수는 지금보다 2배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며 “적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노년건강관리의 필수 요소”라고 조언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