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민지 기자] 우리는 몸이 아프거나 다치면 약을 먹거나 바른다. 마음이 다쳐도 마찬가지다. 마음에 난 상처를 시간이 약이라고 그냥 두면 곪거나 깊어지기 마련이다.

제가 정말 좋아질 수 있을까요?”

상담을 처음 시작할 때 내담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다. 이 믿음을 스스로 가질 수 있다면 상담이 굳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많은 의심과 두려움이 치고 들어오며, 그것들을 제어하지 못하면 우리는 자신을 돌아볼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아픔은 자신을 돌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마음이 나에게 말한다>는 에니어그램을 통해 성격 유형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데 그치는 책이 아니다. 각 유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고 삶을 통찰하는 데 의의가 있다. 과거의 상처를 보듬지 않고는 현재를 온전히 살 수 없으며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도 없다.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노력이 있어야만 상처가 낫는다. 성격 유형 검사의 궁극적인 목적 또한 결국에는 자기의 내면을 알아가는 데 있다. 내면 탐구 여행의 길은 멀고 험하지 않다. 어쩌면 행복한 삶에 이르는 가장 쉽고 빠른 길은 자신을 찾는 여행에 있을지도 모른다.

 

김화숙 지음 / 팬덤북스 펴냄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