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병 정치평론가

비대위 안에 비상이 없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될 때 ‘독배’를 드는 심정이라고 말했다. 매우 시사적인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박 대표는 새정치연합의 당내 현안이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직시하고 있었다. 더욱이 자신이 그 해법을 제시할 적임자가 아니라는 사실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독배’를 드는 심정이라고 말했던 것이다. 그의 판단은 옳았다.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박 대표는 수차례 독배를 들었다. 그 결과 스스로 비대위원장직에서 하차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비대위체제의 비극은 여기서 끝날 것 같지가 않다.
박영선 원내대표가 “정치와 정당개혁에 학문적 이론을 갖추고 계시고 현실정치에 이해도가 높은 분의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한 것을 보면 특정 인사를 구체화시키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아직 새 비대위체제가 구성되지도 않았기에 이에 대한 평가는 다음 기회로 미루자. 다만 아쉬운 것은 누가 비대위원장을 맡더라도 그 속에 ‘비상’의 절박하고 절실한 긴장감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말만 ‘비대위체제’일 뿐, 달라진 것은 거의 없다. 좀 더 냉정하게 말하면 ‘비대위체제’가 아니라 비대위를 빙자한 ‘시간끌기용 관리체제’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혹 외부인사를 영입한 새 비대위체제도 박영선 비대위체제의 연장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 우려될 뿐이다.
비대위체제에 당 혁신의 전권을 주자니 당내 다수파인 친노그룹이 반대하고, 관리형 체제로 가자니 ‘비상한’ 긴장감이나 혁신의 알맹이가 없다는 점이 새정치연합 비대위체제의 최대 딜레마가 아닌가 싶다. 어쩌면 그 절충점으로 친노그룹이 인정하는 외부 전문가가 비대위 체제까지 꿰차는 것은 아닐지 모르겠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친노그룹은 크게 걱정하는 분위기가 아니다. 새 비대위체제의 운명 또한 친노그룹의 손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누가 와도 비대위체제는 곧 관리체제에 다름 아닐 것이다. 그래서 희망을 말하기엔 여전히 어렵다는 뜻이다. 새정치연합의 진짜 혁신은 아직도 멀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