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69곳 중 41곳 서울·경기지역에 몰려
인지도 현저히 낮아… 관리 미흡·홍보 부족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어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복지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영유아보육법에 근거해 1993년부터 중앙 및 지방육아종합지원센터를 설치, 운영 중이다. 2013년 12월 기준으로 전국에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는 총 69곳이다.
육아종합지원센터는 ▲영유아와 양육 보호자에게 일시보육, 맞춤형상담 서비스 및 보육정보 제공 ▲장난감과 도서, 양육교재 및 교구 대여 ▲놀이 공간 마련 등 원스톱 육아지원 서비스를 지원한다.
지역사회의 영유아 보육지원 거점기관을 자처하는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서울과 경기 등 특정지역에 몰려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시군구 센터는 서울 25곳, 경기도 16곳, 부산 1곳, 인천 3곳, 강원도 1곳, 충청남도 1곳, 경상남북도 3곳, 울산 1곳 등에 설치돼 있다.
하지만 특정 지역에 몰려 있기 때문에 대부분 지역에서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떨어져 센터 자체의 역할에 대한 인지도가 현저히 낮다. 실제로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결과를 따르면 영유아 부모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에 대한 인지율에서 장난감과 책 대여사업이 가장 높게 나왔다. 그러나 그 비율 자체도 28.7% 정도로 인지도가 낮았다.
이에 대해 국회입법조사처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대부분을 민간단체가 위탁 운영하면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미흡하고 업무와 기관에 대한 홍보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국 69개 육아종합지원센터 중에서 지자체가 직영하는 곳은 단 4곳뿐이다. 게다가 복지부가 설치한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조차 위탁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의 운영을 효율화하려면 센터 개소 수의 지역 간 차이를 개선해 지역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속적인 주민 홍보사업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