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현대차 앨라바마 공장을 방문해 임직원들을 격려하고, 향후 10년의 과제로 ‘소비자 최고 선호 브랜드로 도약’을 제시했다. (사진제공: 현대자동차그룹)

訪美 생산 공장 점검

[천지일보=손성환 기자]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6일(이하 현지시간)과 7일 현대차 앨라바마 공장과 기아차 조지아 공장을 연이어 방문해 임직원을 격려하며 향후 10년 과제로 ‘소비자 최고 선호 브랜드로 도약할 것’을 제시했다.

정몽구 회장은 현대차 앨라바마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최근 현대차가 미국 JD 파워사의 신차품질조사(IQS)에서 일반 브랜드 1위를 탈환한 것을 치하했다.

특히 정몽구 회장은 최근 생산을 시작한 신형 쏘나타의 생산 현황을 집중 점검하며 “앨라바마 공장은 쏘나타(NF)의 생산이 그 시작이며,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가 10년간 이 만큼 성공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쏘나타의 첫 차를 만들 때부터 모든 열정과 노력을 쏟아온 덕분”이라고 밝혔다.

정몽구 회장은 “2007년 미국에서 46만대를 판매했던 현대차가 지난 해 72만 대를 판매한 것은 이곳 앨라바마 공장이 없이는 불가능했다”며 현지공장이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 확대 및 위기 돌파에 기여한 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어 정몽구 회장은 “지금까지의 10년은 현대·기아차가 미국에서 일류 브랜드가 되기 위한 준비 과정이었다”며 “그 동안 초기품질 1위, 북미 올해의 차 수상, 10대 엔진 선정 등 소기의 성과를 이뤘다. 그러나 이에 만족하지 말고 현대·기아차가 일류 브랜드가 되기 위해 모든 정성을 다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몽구 회장은 “이곳 미국 현지 공장에서 만든 차들이 잘 팔려 국내 공장에서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는 차도 함께 잘 팔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의 미국판매는 앨라바마 공장이 궤도에 오르며 극적으로 증가했다. 2007년 46만 대를 판매한 현대차는 2013년 72만 대로 50% 이상 판매가 증가했으며, 특히 같은 기간 국내공장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된 차도 21만 대에서 32만 대로 50% 이상 늘어났다.

현대차가 앨라바마 공장을 설립하며 얻은 가장 큰 효과는 브랜드 신뢰도의 상승이다. 미국 소비자는 ‘Made in USA’ 현대차에 신뢰를 보냈고, 현대차의 브랜드 이미지는 현지 고용 창출이나 지역 경제 기여를 통해 동반 상승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의 판매도 크게 늘어났으며, 이는 곧 국내공장의 수출 증가뿐만 아니라 국내의 부품 협력사들의 대미 부품 수출의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현대차는 판매 확대를 통해 동시에 미국 전역의 딜러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었다. 현대차는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판매가 50% 이상 증가하는 동안 딜러수는 5% 가량 증가했는데, 이에 따라 딜러당 판매대수가 2009년 550대에서 2013년에는 874대로 대폭 늘어났다. 딜러당 판매대수의 증가는 딜러의 내실화 및 서비스질의 개선으로 이어져, 현대차의 미국 시장에서의 지속 성장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정몽구 회장은 다음 날 기아차 조지아 공장을 찾아 하반기 중 본격 양산에 돌입할 쏘렌토 후속 모델의 생산 준비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양산 품질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정몽구 회장은 “쏘렌토는 조지아 공장을 대표하는 차종으로 조지아 공장의 초기 5년을 이끌어온 모델이다”라며 “쏘렌토 후속 등 신차들도 성공적으로 미국 시장에 안착시킴으로써 앞으로 새로운 5년을 이끄는 성공비전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현대차 앨라바마 공장과 기아차 조지아 공장은 7월 기준 누적 생산 대수 400만 대를 돌파했다.

현대·기아차는 2005년 현대차 앨라바마 공장 완공으로 미국 현지 생산 시대를 연 이래, 5년 만인 2009년 조지아 공장을 가동하며 누적 생산 100만 대를 기록했으며, 다시 5년 만인 올해 400만 대를 돌파해 글로벌 및 미국 경제의 등락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점유율 확대에 일등 공신 역할을 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