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 논리가 어처구니없다.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7일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는 게 일본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도의적인 관점에서 아시아여성기금을 통해 총리의 사죄 편지와 위로금을 전달하는 등 위안부 피해자의 현실적인 구제를 위해 최대한 노력해왔다”고 궤변을 늘어놨다. 이는 유엔 인권문제 최고 수장인 나비 필라이 유엔인권최고대표가 6일(현지시각) “위안부 피해자의 인권이 오늘날까지 침해당하고 있다”고 비난한 지 하루 만에 나온 일본 정부의 반박이다.
일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하지만, 국제사회의 압박은 거세지는 분위기다.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는 지난달 30일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87)·강일출(86) 할머니를 면담했다. 백악관은 또 9월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다시 초청해 2차 면담을 할 계획이라고 한다. 국제사회의 이런 압박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뒷짐만 지고 있다. 우경화 흐름에 속도를 내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에 대한 사과를 한사코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모르쇠’로 일관할수록 국제적 고립만 자초할 뿐이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여기에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내 양심 있는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아사히신문은 5일 2개 면 이상을 할애한 특집기사에서 “여성에 대한 자유의 박탈과 존엄 유린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자”고 강조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적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이때에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더욱 촘촘한 공조망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국제적인 여론을 주도함으로써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아내고 위안부 할머니의 한을 풀어줘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