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강도·강간 등 강력범죄 청소년 증가 추세

[천지일보=김민아 기자]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집단학대·폭행 사건과 관련해 잘못된 교육환경이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6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윤 일병 학대 사망 사건과 김해 여고생 집단폭행 사망 사건의 근본적 원인이 크게 다르지 않다”며 “두 사건 모두 아주 잘못된 교육 환경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김해 여고생 집단폭행 사망 사건은 경남 김해에서 여중생들이 20대 남자 4명과 함께 친구 사이인 가출 여고생을 잔인하게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해 암매장한 사건이다. 윤 일병 학대 사망 사건은 경기도 연천지역 육군부대에서 후임병을 상습적으로 집단 폭행해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이다.

경찰청의 통계에 따르면 4대 강력범죄(살인·강도·강간·방화)를 저지르는 청소년의 수가 2007년 2113명에서 2008년 2322명, 2009년 2786명, 2010년 3428명, 2011년 3205명으로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이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안양옥)는 “모든 참극의 원인은 인성교육 부재에 있다”며 “똑똑한 아이보다 똑바른 아이를 키우는 교육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인륜적 사건의 원인이 기초기본교육 부재와 입시에 매몰된 획일적 교육체제에 따른 학교 밖 청소년 증가에 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이에 교총은 ▲인성교육 중심 교육패러다임 전환 ▲직업전문중학교 설립 등 학제 개편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안 회장은 “현재 국무총리 산하에 있는 ‘학교폭력대책위원회’를 ‘인성교육발전위원회’로 격상하고 인성교육을 가정-학교-사회가 연계된 범국민적 생활실천 운동으로 정착해야 한다”며 “현 정부의 국정 교육 기조인 ‘창의·인성교육’도 ‘인성·창의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심각한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증가는 공부에 흥미가 없거나 입시·진학 위주의 획일적 교육과정에 있다”며 “학생들의 다양한 적성에 부합하는 진로·직업교육 강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