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2세대 3차원 수직구조 낸드인 ‘32단 3D V낸드 메모리’를 국내에서 본격 양산하기 시작했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전자의 2세대 3D V낸드 메모리. (사진제공: 삼성전자)

2세대 3D V낸드 탑재한 PC용 SSD도 출시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2세대 3차원 수직구조 낸드인 ‘32단 3D V낸드 메모리’를 국내에서 본격 양산하기 시작했다고 29일 밝혔다. 양산된 제품은 프리미엄급 PC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 탑재돼 출시된다.

업계 유일하게 3D V낸드(V-NAND)를 양산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24단 1세대 V낸드보다 30% 이상 적층 수를 높인 2세대(32단) V낸드를 양산하며 다시 한 번 3차원 V낸드 메모리 기술 격차를 확대했다.

2세대 3D V낸드는 신규설비 투입 없이 기존 1세대 설비를 그대로 활용해 양산이 가능하다. 적층 수만 높임으로써 집적도를 향상시켜 원가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는 게 삼성 측의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세대 3D V낸드 기반의 데이터센터용 SSD를 출시해 3차원 메모리 시장을 처음 창출했다. 이어 이번에 2세대 3D V낸드 양산에 성공해 이를 탑재한 프리미엄 PC용 SSD를 출시함으로써 올해 3차원 메모리 대중화 시대를 열었다.

이번에 출시한 프리미엄 PC용 SSD 라인업은 128·256·512기가바이트(GB)와 1테라바이트(TB)다. 이는 기존 평면구조 MLC(2bit/Cell) 낸드플래시 기반 SSD 대비 신뢰도 수명을 2배 늘리면서도 전력 소비량은 20% 줄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향후 2세대 V낸드 기술을 기반으로 높은 신뢰성의 프리미엄 SSD와 대용량 SSD 등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라인업을 적기에 출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전영현 부사장은 “데이터센터 시장에 이어 PC 시장까지 주도할 최적의 3D V낸드 SSD 라인업을 출시했다”며 “향후에도 글로벌 IT 고객들에게 더욱 뛰어난 성능의 대용량 V낸드 SSD를 적기에 제공함으로써 V낸드 대중화 시대를 본격적으로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시장 조사기관 가트너는 세계 메모리 시장이 올해 755억 달러에서 2017년 797억 달러로 지속 성장하고, 그중 낸드플래시 시장이 446억 달러로 5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메모리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독자기술을 적용한 3차원 낸드 제품을 계속 출시하며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