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일녀 기자]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잘못된 관행을 돌아보자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금융권에서 모피아(재무관료 출신)와 금피아(금융감독원 출신) 인사가 금지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관료 출신들이 최고책임자를 맡은 산하기관들의 부실이 세월호 조사에서 드러남에 따라 금융권에서도 모피아·금피아 출신의 ‘낙하산’ 인사에 전면 제동이 걸렸다.

이번 세월호 관련, 해운조합과 한국선급 등은 일반 관료 출신들이 최고경영자 직위를 맡아 사건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금융권에서 그동안 모피아와 금피아의 인사가 공공연히 이뤄졌고 그 세력 또한 크기 때문에 이번 인사 금지 조치가 적잖은 파장을 몰고 올 전망이다.

당장 손해보험협회장과 주택금융공사가 그렇다. 사장 자리에 기획재정부 출신 고위 관료가 내정됐지만 임명이 어려워졌다. 향후 퇴임하면 금융권으로 나가려던 금감원 임원들과 금융위원회 간부들도 상황이 불투명해졌다.

이번 참사의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이런 경향이 당분간 계속된다면, 관료 대신 정치인들이 내려와 또 다른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오는 형국이다.

하지만 현재 금융권을 살펴보면 거의 모든 요직을 모피아와 금피아가 차지하고 있어 일정 기간 낙하산 금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KB금융지주 회장은 임영록 전 재정경제부 제2차관,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임종룡 전 국무총리실장이 맡고 있다. 최규연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전 조달청장, 김근수 여신금융협회장은 전 기재부 국고국장이다. 홍영만 자산관리공사 사장은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었다. 이외에 박병원 은행연합회장과 김규복 생명보험협회장은 재정경제부 출신이다.

금융감독원 출신의 금피아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롯데카드는 금감원 상호금융국장 출신 조욱현 감사,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에는 정기홍 전 금감원장보가 감사위원회 대표를 맡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권에서는 내부 인사 승진을 통해 올라온 인사가 해당 조직의 사정을 잘 아는 만큼 최고책임자가 되는 시스템이 정착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