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강수경 기자] 전 세계 국가의 종교 갈등이 6년 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현지시간) 미국의 사회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는 심각한 종교 갈등을 겪는 나라의 비중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2012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종파 간 폭력사태 등 종교 관련 갈등이 높거나 매우 높은 수준인 국가 비중이 33%에 달한다. 2011년과 비교했을 때 4%가 상승한 수치이며 조사를 시작한 2007년과 비교하면 13%나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로 파악한 결과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특히 종교 갈등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퓨리서치는 지난 2010~2011년 발생한 ‘아랍의 봄’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아랍의 봄’은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해 중동과 북아프리카로 확산한 유례없는 반정부 시위로 튀니지에서는 이듬해 재스민혁명을, 이집트에서는 코사리혁명이 일어나 정권이 교체됐다. 시위 등으로 불안정해진 이집트사회에서 콥트교 교회와 기독교인의 사업장에 대한 공격이 증가했다.
인구가 많은 상위 25개국 중 이집트 인도네시아 러시아 파키스탄 미얀마가 가장 극심한 종교 갈등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코트디부아 세르비아 에티오피아 키프로스 루마니아 등에서는 종교 간 폭력 사태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퓨리서치는 남‧북 아메리카를 제외한 198개국을 상대로 조사를 벌였으며, 이들 국가의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99.5% 이상을 차지했다. 북한은 외부에 개방된 정보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조사대상에서 제외됐다.
그러나 북한은 개신교 선교단체인 오픈도어가 전 세계적으로 기독교가 핍박받고 있는 나라들의 박해수준에 따라 순위를 정한 ‘세계박해순위(WWL: World Watch List)’에 연속 12년 동안 1위를 차지하는 등 기독교 박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퓨리서치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 정부는 종교뿐만 아니라 시민적 또는 정치적 자유 등에 관해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이라고 밝혔다.
- 사랑의교회, 갈등에 이어 이번엔 종북 ‘논란’?
- 성경 소재 할리우드 영화 올해 연달아 개봉
- 염수정 추기경 첫 공식 일정, 예수회 총장 면담
- 감리교 시국기도회 “부정선거 특검 실시하라”
- 美 LA카운티, 공식문장에 ‘십자가’ 복원
- 한기총, 금권선거 회개하자마자 불법선거 폭로
- 원불교 남궁성 교정원장, 동자동 쪽방촌 방문
- 교인들, 못 가게 하는 신천지로 ‘왜’ 몰려가나[1]
- 교인들, 못 가게 하는 신천지로 ‘왜’ 몰려가나[2]
- 한교연 대표회장 후보 ‘자격시비’… “문제없다”
- 美 “오바마케어, 종교 자유 위배” 소송
- 남북한어 대조한 ‘성경’ 등장
- [포토] 북한종교박해 실태 그림 전시
- [포토] 북한종교박해 실태 그림 전시 “북한 지하교회 교인들을 아시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