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고민할 타이밍” 민주 “시대착오적 발상”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 체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놓고 여야 간 공방이 뜨겁다.

새누리당은 국가적 통일성을 위해 역사교과서를 국정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민주당은 ‘유신시대로 돌아가려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유기준 최고위원은 9일 강원도 고성 DMZ박물관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역사교과서 논란으로 국민 혼란과 여론 갈등이 심하다”면서 “국정교과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정교과서 환원 방안에 대해 야당이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해서도 “역사에 대한 시각과 판단을 바로 정하지 못한다면 논란이 거듭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의 국정 역사교과서 환원 주장을 맹비난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지도부-정치개혁특위 연석회의에서 “채택률 0%대인 교학사 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채택해 100%로 만들겠다는 역주행, 독선적 발상”이라며 “유신회귀적 발상이며 친일독재미화 역사를 국정교과서를 통해 국민의 머리에 주입하겠다는 독재적이고 독선적 인식”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친일독재미화 교과서인 교학사 교과서를 학생과 학부모가 집단 거부한 것은 집단지성의 결과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정교과서 체제로 환원하는 방안을 놓고 장외 공방도 펼쳐졌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새누리당 간사인 김희정 의원은 9일 MBC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특정교과서를 채택한 학교에 외부세력이 압력을 넣어 뒤집게 한 것은 굉장히 잘못된 일”이라면서 “국정교과서도 함께 고민해야 할 타이밍”이라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간사인 유기홍 의원은 같은 방송에 나와 “1974년 유신교육을 위해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했다가 2002년 세계적인 흐름과 민주화의 추세 속에서 검인정체제로 전환됐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정교과서로 돌아가는 것은 다시 유신 교육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라고 유 의원은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역사교과서는 10월 유신 직후인 1974년부터 국정으로 발행되다가 2002년 근·현대사 교과서 때부터 검정으로 전환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