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권發 정계개편 신호탄
정국 주도권 판가름 전망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오는 7월 30일 치러지는 재보궐선거 역시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다. 정치 지형을 뿌리째 바꿀 수 있을 정도로 정치적 무게감이 크기 때문이다. 재보선은 6.4 지방선거 이후 치러진다. 사실상 연장전인 셈이다. 정치권은 재보선을 지방선거와 더불어 올해의 ‘빅 이벤트’로 주목하고 있다.
재보선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최소 2곳에서 많게는 10곳에서 재보선이 치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선거법 위반 등으로 2심까지 당선무효형이 선고된 곳과 광역단체장 출마에 따라 현직의원이 사퇴하는 지역 등을 합치면 재보선 가능 지역구는 최대 15곳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지난해 2곳에서 열린 10.30 재보선보다는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재보선에 촉각이 쏠리는 이유는 그 결과에 따라 정치 지형이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철수 신당을 주축으로 한 야권의 정계 개편이 특히 정가의 관심사다. 선거 정국이 지방선거에서 재보선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다. 안철수 세력이 지방선거 결과를 바탕으로 재보선에서 호성적을 거두는 시나리오가 가장 극적이다. 두 자릿수의 의석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렇게 되면 정국은 ‘3당 체제’로 본격 재편된다.
리서치앤리서치 배종찬 본부장은 “안철수 신당의 경쟁력이 지방선거를 통해 입증되면 당선 가능성이 큰 야권 인물들은 굳이 민주당으로 출마하지 않고 안철수 신당으로 출마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민주당 소속 현역의원 일부도 안철수 신당으로 당적을 옮길 수 있다”고 예상했다.
새누리당 역시 재보선을 소홀히 여기기 어려운 상황이다. 재보선 규모에 따라서는 국회 의석의 과반을 내줄 수 있다는 게 새누리당의 우려다. 사실상 ‘미니 총선’으로 치러진다면 패배 시 충격도 그만큼 클 것으로 보인다. 야권에 국정 주도권을 빼앗기는 것은 물론 내부 충격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큰 문제는 그간 당 주도권을 행사해온 친박(친박근혜)계의 입지다. 패배 책임론을 두고 계파 갈등과 내부 권력 투쟁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재보선 이후 3당 체제로 재편되면 정국 구도에서도 수세에 몰릴 가능성이 있다. 배 본부장은 “안철수 신당이 원내에서도 유력한 세력으로 부상하면 집권여당과 대통령으로서는 민주당이 아니라 안철수 신당이 경쟁 세력이 되는 셈”이라면서 “상당히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재보선은 그동안 물밑에 있던 정치 거물들에게도 기회다. 정계 개편의 소용돌이 속에 원내로 입성할 수 있는 통로로 재보선이 제격이기 때문. 최근 지방선거 불출마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경우 재보선을 통한 원내 입성이 유력 시나리오의 하나로 거론된다. 지난해 재보선에서 출마설이 나돌았던 민주당 손학규 상임고문, 정동영 상임고문 역시 7월 재보선을 앞두고 또다시 출마설에 오를지 주목된다.
